습산진벌 ()

목차
과학기술
문헌
조선후기 실학자 최한기가 『수리정온』을 참고하여 1850년에 편찬한 수학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실학자 최한기가 『수리정온』을 참고하여 1850년에 편찬한 수학서.
내용

5권 2책. 목활자본. 권 1은 도량권형(度量權衡)·명위(命位)·구수승결(九數乘訣)·산책(算策)·일점도설(一點圖說), 권 2는 가법(加法)·감법(減法)·인승(因乘)·귀제(歸除), 권 3은 평방(平方)·대종교수평방(帶縱較數平方)·대종화수평방(帶縱和數平方), 권 4는 입방(立方), 권 5는 대종교수입방(帶縱較數立方)·대종화수입방(帶縱和數立方)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용서명에 관해서는 언급이 전혀 없지만, 내용을 보면 ≪수리정온 數理精蘊≫의 다음 부분을 요약해서 옮긴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수리정온≫ 하편 중의 도량권형·명위·명수법·가법·감법·인승·귀제(이상 권 1), 평방·대종(이상 권 10), 입방(권 23), 대종교수입방·대종화수입방(이상 권 24) 등이 그것이다.

저자가 덧붙인 부분은 다음 몇 가지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당시 조선에서 쓰여지고 있었던 ‘一升法二十五寸九百三十四分三百三十六厘一斗法二百五十九寸三百四十三分三百六十厘十斗法……(일승법이십오촌구백삼십사분삼백삼십육리일두법이백오십구촌삼백사십삼분삼백육십리십두법……)’의 아동두승법(我東斗升法)과, ‘一結百負, 一負十束, 一束十把, 一等田積萬尺一結, 二等田積萬尺八十負, 三等田積萬尺七十負……(일결백부, 일부십속, 일속십파, 일등전적만척일결, 이등전적만척팔십부, 삼등전적만척칠십부……)’의 아동전결부(我東田結負), 구구팔십일에서 시작하는 고식(古式)의 구수승결(九數乘訣), 그리고 산목(算木)의 모양·배열방법·가감산의 설명도를 보여 주고 있는 정도이다.

이러한 내용이 저자의 독특한 견해에 의해 원본 ≪수리정온≫에도 없는 산목계산(算木計算)의 형식을 전면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점이 이 책의 특징이다. ≪수리정온≫에 소개되어 있는 새로운 필산법(筆算法)을 문자(漢數字) 대신으로 이 책에서 산목으로 표현하고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한국수학사』(김용운·김용국, 열화당, 198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