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구르치 (sigurchi)

목차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 원나라의 영향을 받은 몽고어식의 관직.
이칭
이칭
速古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시대 원나라의 영향을 받은 몽고어식의 관직.
내용

한자어로는 ‘速古赤’으로 표기한다. 고려시대 숙위병(宿衛兵) 또는 왕의 측근에서 심부름을 하던 관직으로 보인다. 시구르치는 몽고어로 왕의 측근에서 솔이나 털이개로 의복 등을 털어서 깨끗이 하는 일에 종사하는 사람을 말하는 것이다.

『고려사(高麗史)』 병지에는, 1388년(우왕 14)에 헌사(憲司)에서 시구르치를 비롯하여 우달치[于達赤]·별보(別保) 등 각 애마(愛馬)는 한서(寒暑)에도 불구하고 이른 아침부터 깊은 밤까지 근로함이 심하나, 두승(斗升)의 녹(祿)도 먹을 수 없으니, 이를 제위(諸衛)에 병합할 것을 상소한 것이 보인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高麗史に見えたる蒙古語の解釋」 (白鳥庫吉, 『東洋學報』18-2, 192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