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8년 반월지구 유적발굴조사 시 총 13기의 고인돌이 확인되어 그 중 3기가 경희대학교박물관에 의해 발굴되었다.
유적들은 관모봉(冠帽峰)으로부터 이어지는 완만한 경사대지 위의 밭 가운데에 산재해 있다. 그 중 최대 규모의 것을 제1호, 그 서쪽과 북쪽에 위치한 고인돌들을 제2호와 제3호로 명명한 뒤 발굴에 착수하였다.
제1호 고인돌은 길이 332㎝, 너비 240㎝, 높이 100㎝의 규모로서 발굴 당시 뚜렷한 굄돌을 확인하지 못한 점으로 보아 이른바 개석식(蓋石式) 고인돌로 보아야 할 것 같다.
상부구조의 중요한 특징은 상석(上石)과 개석이 이중으로 겹쳐져 있다는 점인데 그 사이의 빈틈은 돌로 채워져 있었으며, 그곳에서 숫돌 1점이 발견되었다. 하부구조는 동서 길이 212㎝, 너비 50∼70㎝의 토광(土壙)과 그 상부의 적석부(積石部)로 이루어져 있다.
내부 출토유물로는 돌끌편(石鑿片) 1점과 토기편 4점이 확인되었다. 돌끌편은 6.3㎝×4.4㎝ 크기로서 사용흔적이 남아 있었다. 토기편들은 흑회색의 연질이다. 또한 개석과 상석 사이에서 발견된 숫돌은 두께 5.8㎝, 길이 24. 3㎝, 너비 11.2㎝의 대형으로서 약간의 사용흔적이 남아 있을 뿐이다.
제2호 고인돌은 제1호 고인돌의 서쪽 10m 지점에 위치한다. 개석식의 형태로서 상석은 동서 너비 198㎝, 남북 길이 200㎝, 두께 70㎝의 크기였으며, 그 아래 자갈층과 토광이 순서대로 확인되었다. 토광은 동서 길이 198㎝, 너비 74㎝, 깊이 50㎝의 장방형에 가까운 타원형이다. 내부에서 발견된 유물은 전혀 없었고, 그 상부의 자갈층에서만 토기편 1점이 발견되었을 뿐이다.
제3호 고인돌은 제1호 고인돌의 북쪽 18m 지점에 위치한다. 발굴 도중 교란된 사실이 밝혀져 작업이 중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