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산 이만부 전적 ( )

목차
관련 정보
식산 이만부 전적
식산 이만부 전적
출판
문헌
국가유산
조선후기 학자 이만부가 17세기 말부터 18세기 초에 걸쳐 저술한 전적류.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식산이만부전적(息山李萬敷典籍)
분류
기록유산/전적류/필사본/고본
지정기관
경상북도
종목
경상북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95년 03월 31일 지정)
소재지
경북 문경시 신기1길 67 (신기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학자 이만부가 17세기 말부터 18세기 초에 걸쳐 저술한 전적류.
개설

1995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전적은 모두 13종 38책으로, 『태학성전(太學成典)』 · 『지서(志書)』 · 『향약제명록(鄕約題名錄)』 · 『도동편(道東編)』 · 『사서강목(四書講目)』 · 『역통(易統)』 · 『역대상편람(易大象便覽)』 · 『예기상절(禮記詳節)』 · 『독서법(讀書法)』 · 『독서일기(讀書日記)』 · 『잡록(雜錄)』 · 『고문(古文)』 · 『식산당전법(息山堂篆法)』 등이다.

내용

이만부의 가문은 근기남인(近畿南人)의 명문으로서, 그의 학문세계는 수사학(洙泗學)과 정주학(程朱學)을 포괄함은 물론 국학과 실학적인 분야까지 관심을 갖고 방대한 저술을 남겼다.그의 문집인 『식산문집』이 1813년(순조 13)에 간행된 바 있고, 1933년에는 이미 간행된 문집과 함께 수고본(手稿本)으로 유전되던 위의 저술들을 영인 출간하였으나, 『고문』과 『식산당전법』은 『식산전서(息山全書)』에 실리지 않았다. 식산이만부전적은 대부분 저지(楮紙)에 필사본이다.

『태학성전』 13권 3책은 1689년(숙종 15)에 저술한 것으로 성균관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정리한 것이며, 『지서』는 15권 4책으로 1704년 저술로 자신의 위학자세(爲學姿勢)와 지학(志學)을 밝힌 것이다. 『향약제명록』은 1707년상주 노곡향약(魯谷鄕約)의 서문 · 좌목(座目) · 조문(條文)을 정리한 것이며, 『도동편』은 1708년 저술로 동방의 『성리대전(性理大全)』이라 할 수 있는 성리서이다. 그 밖에 『사서강목』은 1725년, 『역통』은 1728년, 『역대상편람』 · 『예기상절』 · 『독서법』 · 『독서일기』 · 『잡록』 · 『고문』 · 『식산당전법』 등은 1730년에 저술한 것이다.

식산이만부전적은 현재 경상북도 문경시 신기동의 이용덕이 소장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전적을 면밀히 조사해 보면 그의 학문세계가 넓고 저술이 다양하여 이익(李瀷)과 같은 실학파에 버금가는 대학자임을 알 수 있다. 저술 시기는 17세기 말부터 18세기 초에 걸친 것으로 모두 수고본 또는 친필이므로 연구 자료로서의 가치가 매우 크다.

참고문헌

『남인 사림의 거장 식산 이만부』(신두환, 한국국학진흥원, 2007)
『식산집(息山集)』(李萬敷, 한국고전번역원, 『韓國文集叢刊』, 2013)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효경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