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진 신도비 ( )

목차
관련 정보
충익공 신경진 묘역 신도비
충익공 신경진 묘역 신도비
서예
유적
국가유산
서울특별시 중랑구에 있는 조선시대 명신 신경진의 신도비.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충익공 신경진 묘역(忠翼公 申景? 墓域)
분류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지정기관
서울특별시
종목
서울특별시 시도유형문화유산(1995년 01월 25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동 산 69-1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중랑구에 있는 조선시대 명신 신경진의 신도비.
내용

1683년(숙종 9) 건립. 총높이 368㎝, 비신의 높이 189㎝, 너비 99㎝, 두께 32㎝. 비는 신도비와 문관석 2기, 묘갈 1기, 망주석 2기를 포함한 묘역이 함께 1995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화강암제 귀부(龜趺) 위에 대리석제 비신(碑身)과 첨석(檐石 : 처맛돌)을 얹었다. 귀부는 비신에 비해 크고 둔중하며, 첨석은 추녀 단면에 구름무늬를 새기고 지붕에 쌍룡이 틀고 있는 모습을 새겼다. 조선시대 석비로 우수한 편이며 1720년(숙종 46)에 세워진 연령군신도비(延齡君神道碑) 등의 조형(祖形)이 되었다.

비문은 그의 천거를 받았던 전(前) 좌의정 송시열(宋時烈)이 지었고, 글씨는 사간원 정언 박태유(朴泰維)가 썼는데 안진경(顔眞卿)의 서풍이 가미된 단정한 해서이다. “領議政平城府院君忠翼申公神道碑銘(영의정평성부원군충익신공신도비명)”이란 두전(頭篆)은 판돈녕부사 이정영(李正英)이 썼다. 비문에는 신숭겸(申崇謙) · 신개(申槪) 등 선조들에 대해 약술되어 있고, 이어 광해군 · 인조 연간의 행력이 적혀 있는데, 특히 병자호란 때의 활약이 잘 기술되어 있다. 말미에 부인과 자손들의 약력과 명문이 있다.

참고문헌

『송자대전(宋子大全)』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서울금석문대관(金石文大觀)』(서울특별시, 1987)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