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사임당 초서 병풍 ( )

목차
관련 정보
신사임당 초서병풍
신사임당 초서병풍
서예
유물
국가유산
사임당 신씨(1504∼1551)의 글씨로 전래되는 초서 병풍.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신사임당초서병풍(申師任堂草書屛風)
분류
기록유산/서간류/서예/서예
지정기관
강원특별자치도
종목
강원특별자치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73년 07월 31일 지정)
소재지
강원 강릉시 율곡로3139번길 24 (죽헌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사임당 신씨(1504∼1551)의 글씨로 전래되는 초서 병풍.
내용

종이바탕, 세로 44.5㎝, 가로 33.5㎝. 강릉시오죽헌 · 시립박물관 소장. 1973년 강원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사임당은 대유학자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어머니로 자식 교육에 있어 남달랐을 뿐만 아니라 그림과 글씨에 뛰어나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여류서화가로 평가되고 있다. 이 초서 필적은 당시(唐詩) 오언절구 6수를 각각 한 장에 쓴 것으로 뒤에 병풍으로 꾸민 것이다. 글씨는 원필(圓筆)의 필세가 또렷하고 필획이 매우 정갈하다.

병풍 말미의 2폭에는 강릉부사 이형규(李亨逵, 1733∼1789)의 1744년 발문, 강원도지사 이용(李龍)의 1963년 발문, 시인 이은상(李殷相)의 1971년 발문이 있다. 이중 이형규의 발문에 따르면, 사임당의 넷째 여동생의 아들인 권처균(權處均)이 초서 6폭을 얻었는데, 그의 딸이 최대해(崔大海)란 사람에게 출가하면서 이것을 시집으로 가져갔다고 한다. 그 뒤 영조 때 이웃고을 사람의 꼬임으로 넘어갔는데 부사가 그 사연을 듣고 찾아서 후손에게 되돌려주었다고 한다. 근래까지 강릉시 두산동의 후손 최돈길(崔燉吉)씨 집에 전해오다가 1971년 강릉시가 양수(讓受)받아 율곡기념관에 보관하였다.

이 필적이 사임당의 진적(眞蹟)이라면 그녀는 명필이던 아들 이우(李瑀)는 물론이요 16세기 후반에 활동했던 명서가 백광훈(白光勳) · 한호(韓濩) 등에게 영향을 미친 중요한 인물이 된다. 진위 여부는 차후 면밀한 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한편, 이 필적은 1868년에는 강릉부사 윤종의(尹宗儀)에 의해 목판으로 간행, 널리 전파되었다.

참고문헌

『강릉시오죽헌·시립박물관도록』(1999)
『신사임당의 생애와 예술』(이은상, 성문각, 1957)
「16世紀朝鮮時代の草書について」(李完雨, 『國際書學硏究』, 東京: 書學書道史學會, 200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