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잡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 임진왜란 선조를 의주까지 호종해 호성공신에 책봉된 문신.
이칭
백준(伯俊)
독송(獨松)
시호
충헌공(忠憲公)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41년(중종 36)
사망 연도
1609년(광해군 1)
본관
평산(平山)
주요 관직
호조판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신잡은 형조판서와 호조판서를 역임한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임진왜란 당시 국왕 선조를 의주까지 호종하였다. 신잡은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1604년 호성공신(扈聖功臣) 2등에 책봉되고, 평천군(平川君)에 봉해졌다. 이때 초상화도 하사받았는데, 당시 하사받은 초상화가 현존한다.

정의
조선 후기 임진왜란 선조를 의주까지 호종해 호성공신에 책봉된 문신.
가계 및 인적 사항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백준(伯俊), 호는 독송(獨松)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주부(主簿) 신말평(申末平), 할아버지는 형조판서를 역임한 신상(申鏛)이다. 아버지는 신화국(申華國)이며, 어머니 파평윤씨(坡平尹氏)는 윤회정(尹懷貞)의 딸이다. 임진왜란 당시 충주 탄금대에서 전사한 신립(申砬)과 경기 수어사(京畿守禦使)로 임진강 하류에서 전사한 신할(申硈)이 그의 동생이다. 이산해(李山海)의 문인이다.

주요 활동

1568년( 선조 1) 증광시(增廣試)에서 생원에 입격하였고, 1583년(선조 16)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임진왜란 중에는 비변사(備邊司) 당상(堂上)으로 활동하였고, 광해군의 세자 책봉을 주청하기도 하였다. 이듬해 병조참판(兵曹參判)을 거쳐 평안도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로 부임하였다. 1595년(선조 28)에는 평안도 내의 철산군(鐵山郡)에서 탈옥 사건이 발생하여 그 책임으로 파직되었다.

1596년 동지중추부사에 임명되었고, 1603년에는 형조판서에 임명되었다. 이후 세자시강원빈객(賓客)을 겸임하고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를 역임하였다. 1608년(선조 41) 개성유수(開城留守)를 끝으로 관직에서 물러나 충청도 진천의 논실에 입향(入鄕)하여 학문에 전념하였다.

상훈과 추모

1609년(광해군 1) 노환으로 사망하자 예조에서 그의 사망 소식을 전하며 2일 동안 시장과 조회를 정지하도록 하는 정시조(停市朝)를 청하였고, 광해군이 해당 관청의 전례에 따라 거행하도록 지시하였다. 이후 1613년(광해군 5)에 진천 유생들의 상소에 따라 영의정으로 추증되었고, 그를 기리는 노은영당(老隱影堂)이 지금의 자리에 건립되었고 사액(賜額)을 받았다. 1821년(순조 21) 충헌공(忠憲公)이라는 시호를 하사받았다.

참고문헌

원전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선조실록(宣祖實錄)』

논문

김의환, 고수연, 「진천 평산 신씨 소장 고문서의 내용과 특징」(『역사와 실학』 제66집, 역사실학회, 2018)
장인석, 「진천 노은영당 소장 申磼 肖像畵의 製作 時期」(『역사와 실학』 제66집, 호서사학회, 2018)
장필기, 「鎭川 논실의 平山申氏 將臣閥族家系와 申鴻周」(『역사와 담론』 제57집, 호서사학회, 2010)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