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충일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시대 김해부사, 경상도수군절도사, 부총관 등을 역임한 무신.
이칭
서보(恕甫)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54년(명종 9)
사망 연도
1622년(광해군 14)
본관
평산(平山)
주요 관직
김해부사|경상도수군절도사|부총관
관련 사건
임진왜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시대 김해부사, 경상도수군절도사, 부총관 등을 역임한 무신.
개설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서보(恕甫). 아버지는 면천군수 신묵(申默)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83년(선조 16) 무과에 급제, 선전관에 등용되었다. 강진·고산현감을 역임하였다.

1595년 남부주부(南部主簿)로 있을 때, 임진왜란으로 전쟁 중인 우리나라에 사자를 보내어 통호(通好: 서로 관계를 가짐)를 요구하는 등 심상치 않은 태도를 보이는 건주여진(建州女眞)의 동정을 탐지해오라는 명을 받았다.

그 해 12월 만포진에서 압록강을 건너 명나라의 여희윤(余希允)과 누루하치(奴兒哈赤: 뒤의 淸太祖)의 거성(居城)에 들어가 그들의 발호에 대한 명나라의 뜻을 전하고 동정과 산천·풍습 등을 살펴보았다.

이듬해 1월 귀국, 복명하면서 한만사연구(韓滿史硏究)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는 『건주기정도기(建州紀程圖記)』를 작성하여 올렸다.

귀국한 그 해에 함흥판관이 되었으나, 임진왜란 중 금산전투 때 무단이탈한 죄와 누루하치에게 오배삼고두(五拜三叩頭: 다섯번 큰 절을 하고 머리를 세 번 땅에 조아림)의 예를 올려 국위를 손상시켰다는 죄로 파직되었다.

그 뒤 복관되어 1599년 김해부사가 되고 1615년(광해군 7) 첨사가 되고, 이듬해 경상도수군절도사·부총관 등을 역임하였다. 묵죽에 뛰어나 이정(李霆)과 함께 양대가로 이름을 날렸다. 뒤에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淸初の疆域·續―申忠一の建州紀程圖記を中心として―」(三田村泰助,『朝鮮學報』36, 196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