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성보전투 ()

목차
근대사
사건
1932년 9월 20일과 11월 17일에서 22일까지 두 차례에 걸쳐 한국독립군과 중국 측 항일의용군인 길림자위군(吉林自衛軍)이 연합해 하얼빈[哈爾濱] 서남방의 쌍성보에서 일본군과 만주국군을 상대로 벌인 전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32년 9월 20일과 11월 17일에서 22일까지 두 차례에 걸쳐 한국독립군과 중국 측 항일의용군인 길림자위군(吉林自衛軍)이 연합해 하얼빈[哈爾濱] 서남방의 쌍성보에서 일본군과 만주국군을 상대로 벌인 전투.
내용

1차 전투에서는 대승했으나, 2차 전투에서는 패전하였다.

만주사변 직후인 1931년 11월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의 산하 한국독립군은 난관을 겪으면 서도 북만주 일대의 동포들을 기반으로 중국 측 항일의용군과 함께 각지에서 일본군 및 만주국군과 투쟁하였다. 쌍성보는 장춘(長春)∼하얼빈 간 철도 사이에 있는 도시로서 만주 물산이 집결되는 요충지였고, 친일부호와 고관들이 많이 살고 있는 일제침략의 거점이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이 곳에는 독립군과 중국 측 항일의용군, 반만의용군을 탄압하려는 목적으로 설치된 만주국군 차오페이단(剿匪團)의 주력부대가 주둔하고 있었다. 이에 한국독립군과 중국 측 항일의용군은 이 곳에서 일본군과 만주국군을 상대로 격전을 벌이게 되었다.

쌍성보전투 당시 한국독립군은 총사령 지청천(池靑天)과 부사령 김창환(金昌煥), 참모장 신숙(申肅), 그리고 조경한(趙擎韓)·최악(崔岳)·안종명(安鍾鳴)·심만호(沈萬湖)·차철(車澈) 등이 거느리는 각 지대가 합류해 500명 내외의 병력이었다. 중국 측 항일의용군 부대는 가오펑린[考鳳林] 등이 거느리는 수천명의 길림자위군 제1·제2·제3군과 훙창대[紅槍隊]·헤이창대[黑槍隊] 등의 종교세력 항일의용군도 참가해 2만∼3만명에 달하였다.

1차 쌍성보전투는 1932년 9월 20일 밤 8시부터 약 2시간에 걸쳐 진행되었다. 당시 쌍성보에는 약 3,000여 명의 만주국군과 소수의 일본군이 주둔해 있었다. 이 전투에서 한국독립군은 가오펑린이 거느린 길림자위군과 함께 쌍성보성의 서문측 공격을 담당하였다. 그리고 길림자위군 제1·제2군은 성의 동·남문을 공격하고, 훙창대·헤이창대 등의 부대는 북문 밖에 매복해 퇴각하는 일·만군을 기습하기로 작전계획을 세웠다.

이 전투에서 세 방면을 포위한 한중연합군은 치열한 공방전 끝에 쌍성보성을 점령하고 많은 군수물자를 노획하고 약 2,000여 명의 만주국군을 생포하는 큰 승리를 거두었다. 이 전투에서 한국독립군은 서문 돌파의 주역으로 크게 활약하였다.

쌍성보를 점령한 연합군은 일·만군의 역습에 대비해 소수의 중국 측 항일의용군을 주둔시키고 부근의 우가둔(牛家屯)으로 철수하였다. 그러나 얼마 뒤에 일·만군 연합의 대부대가 반격해와 쌍성보는 다시 적의 수중에 들어갔다.

2차 쌍성보전투는 11월 17일부터 22일까지 5일간이나 계속되었다. 한국독립군과 가오펑린이 거느린 길림자위군는 17일 밤쌍성보를 공격해 점령하는 데 성공하였다. 이 때 성안에 있던 일본군 1개 중대가 거의 전멸하였고 만주국군 일부는 투항하였다.

쌍성보가 한중연합군에 점령된 뒤 하얼빈에 주둔하고 있던 일·만군은 쌍성보를 다시 탈환하기 위해 그 달 20일 폭격기까지 동원해 대규모 병력으로 반격해 왔다. 연합군은 완강히 저항했으나, 일·만군의 우세한 군사력에 밀려 쌍성보에서 물러나고 말았다. 그 뒤 한중연합군은 4일간이나 계속해서 추격을 당하였다.

이 전투 직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던 길림자위군은 겨울을 견디기 어렵다는 이유를 내세워 투항하려 하였다. 이 때 한국독립군도 많은 손실을 입었으나, 동요하기 시작한 길림자위군과 결별하고 독자적 항전을 계속하였다.

한국독립군은 2차 쌍성보전투 후반에 비록 고전했지만, 중국 측 항일의용군과 협동작전을 전개해 1차 쌍성보 전투에서 대승하는 등 일제에 상당한 타격을 가하였다. 이 전투는 이후 한중 양민족의 공동전선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백강회고록』(조경한, 한국종교협의회, 1979)
『나의 일생』(신숙, 일신사, 1963)
『청천장군의 혁명투쟁사』(지헌모, 삼성출판사, 1949)
『광복(光復)』2권 1 기(期)(한국광부군총사령부정훈처, 1942)
「1930년대 민족주의계열 독립군의 항일무장투쟁」(장세윤,『중국동북지역 민족운동과 한국현대사』, 2005)
「한국독립군의 항일무장투쟁연구」(장세윤, 『한국독립운동사연구』 3, 1989)
「한국독립군과 중국반일부대의 협동작전」(박창욱, 『봉화』, 북경 민족출판사, 1989)
집필자
장세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