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관련 정보
훈민정음 / ㅇ
훈민정음 / ㅇ
언어·문자
개념
한글 자음에서 여덟 번째로 등장하는 글자. 이응.
이칭
이칭
이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한글 자음에서 여덟 번째로 등장하는 글자. 이응.
내용

국어의 자음 가운데, 혀뿌리를 연구개(軟口蓋)에 대어 숨길을 막고 날숨을 코 안으로 내보내며 목청을 울리게 하여 나는 유성연구개비음(有聲軟口蓋鼻音)을 표기하는 데 쓰인다.

현행 한글맞춤법에서는 ‘ㅇ’자를 가지고 국어의 초성과 종성을 두루 표기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훈민정음 창제 때에는 국어표기에 있어서 ‘ㅇ’자와 ‘ᄠᅳᆷ’자의 용례를 달리 규정하였다.

≪훈민정음≫(해례본) 본문에서는 “ㅇ喉音如欲字初發聲”이라 하고, ≪훈민정음≫(국역본)에서는 “ㅇᄂᆞᆫ 목소리니 欲욕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라”라고 하여 ‘欲’자의 한자음을 가지고 ‘ㅇ’음의 음가를 설명하였으며, ≪훈민정음≫(해례본) 제자해에서는 ‘ㅇ’음을 후음의 불청불탁(不淸不濁)에 소속시키고, 종성해에서는 ‘ㅇ聲淡而虛’라고 설명하여 ‘ㅇ’음이 무음가(無音價) 또는 [○] 음임을 시사하였다.

실제로 15세기 중세국어를 표기하는 데에 있어서 ‘ㅇ’자는 음가 없는 초성이나 어중(語中)에서 [○]음을 가진 초성을 표기하는 데 쓰였으며, ≪훈민정음≫(해례본) 용자례(用字例)에서도 초성 표기 예만 보이었다.

16세기초부터 ‘ㅇ’자는 완전히 음가 없는 초성 표기에만 쓰이었으며 종성을 표기할 때에는 ‘ᄠᅳᆷ’자 대신 [○]음을 나타내는 글자로 쓰이었다.

그래서 한글의 이름을 처음으로 보인 ≪훈몽자회≫(1527) 범례의 ‘초성독용팔자(初聲獨用八字)’란에는 ‘ㅇ 伊’로 되어 있어 ‘초성종성통용팔자(初聲終聲通用八字)’란의 ‘ᄠᅳᆷ 異凝’과 구별하고 있다.

≪삼운성휘 三韻聲彙≫(洪啓禧, 1751)에 실려 있는 ‘언자초중종성지도(諺字初中終聲之圖)’에는 ‘ㅇ’자는 없고 ‘ᄠᅳᆷ’자만 실려 있는데, 이것은 16세기초부터 두 글자가 혼용되어온 것을 반영한 것이다.

자모의 순서는 훈민정음 창제 때 조음위치별로 하여, ‘ㅇ’자는 아음(牙音)의 ‘ㄱ’자로부터 스물한번째였고, 같은 후음글자들인 ㆆ·ㅎ·ㅇ 가운데에서 가장 세지 않게(不厲) 소리가 난다고 하여 ‘ㅇ’자를 후음자의 기본글자로 삼고 나머지 글자들은 이 글자에 획을 더하여 만들었다.

참고문헌

『훈민정음 해례본』
『훈민정음 국역본』
『훈몽자회』
『한글갈』(최현배, 정음사, 1941)
『국어표기법의 역사적연구』(이기문, 한국연구원, 1963)
『국어음운학』(허웅, 정음사, 1965)
『신고국어학사』(유창균, 형설출판사, 1969)
『국어학사』(강신항, 보성문화사, 1979)
관련 미디어 (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