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도회 ()

목차
관련 정보
인문지리
문헌
조선후기 안동부를 비롯한 경상좌도 21개 군현의 지도을 수록한 지도집. 고지도.
목차
정의
조선후기 안동부를 비롯한 경상좌도 21개 군현의 지도을 수록한 지도집. 고지도.
서지적 사항

연대와 작자는 미상이다. 채색필사본으로 지도첩의 크기는 세로 47㎝, 가로 30.5㎝이다. 수록된 부·군·현 각 지도의 크기는 세로 95㎝, 가로 73㎝ 내외로 일정하지 않다. 지도첩의 크기에 맞게 접어서 제책되었다.

내용

『안동도회(安東都會)』는 행정 및 군사적인 목적을 위해서 작성된 지도로서 지도의 상단 여백에는 성곽의 길이 및 민호·전답·군보·창·봉수·이정(里程) 등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하천의 유로, 산줄기, 수록된 지명 등이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된 『해동지도(海東地圖)』의 경상도 각 군현 지도와 거의 동일하게 그려져 있어 지도 제작에서 그 연관성을 찾아볼 수 있다.

『해동지도』는 지명과 사방 경계까지의 거리 정보가 각 군현지도에 기록되어 있고, 도로가 자세하게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해동지도』의 주기 부분은 후대에 새로 기입하기 위해 지도의 여백 부분에 새로운 종이를 덧붙인 부분이 많다. 반면에 『안동도회』는 지도에 지명과 사방 경계까지의 거리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고, 도로도 생략되어 있다. 또 지도 여백에는 주기를 다시 기록하기 위해 종이를 덧붙인 경우가 전혀 없어 『안동도회』는 『해동지도』나 그 원본 계통의 지도를 바탕으로 하여 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안동도회』와 동일한 형식으로 되어 있는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경주도회』의 「대구부지도」에서도 확인된다. 『해동지도』의 「대구부지도」에 그려져 있지 않던 읍성이 『경주도회』의 「대구부지도」에는 그려져 있다. 대구 읍성은 1736년(영조 12)에 축조되기 때문에 『해동지도』는 그 이전의 상황을, 『경주도회』의 「대구부지도」는 그 이후의 상황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읍성 부분만 놓고 볼 때 『경주도회』의 「대구부지도」는 『해동지도』의 「대구부지도」를 바탕으로 제작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각 군현지도에 수록된 지명에서 『안동도회』의 것은 거의 대부분 『해동지도』에 나오는 반면에 『해동지도』에서 보이는 지명이 『안동도회』에는 보이지 않는 것이 많아 『안동도회』가 『해동지도』나 그 원본 계통의 지도를 필사하면서 지명을 생략했다고 볼 수 있다. 주기에 기록된 내용 중에는 거리나 성곽의 둘레 등 시기적 변화에 따라 달라지지 않는 것은 『해동지도』의 주기와 거의 동일하지만 호구 등 조세와 관련된 통계는 『해동지도』와 내용이 다르다. 이는 변하지 않는 정보는 그대로 두면서도 조세와 관련된 통계처럼 시기적 변화가 나타나는 정보는 지도 제작 당시의 상황을 반영하려 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지명유래집: 경상편』(국토지리정보원, 2015)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e-kyujanggak.snu.ac.kr)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성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