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변 용성리 고분 ( )

선사문화
유적
북한 강원도 안변군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 시기의 돌방무덤. 석실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강원도 안변군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 시기의 돌방무덤. 석실분.
내용

주위에는 서곡산성이 자리잡고 있다. 1957년에 북한의 원산력사박물관에 의해 5기의 석실분이 발굴 조사되었다. 고분은 해발 80m 정도의 야산줄기가 사방으로 뻗어 형성된 능선에 분포하고 있다. 외관상으로 확인 가능한 고분이 50∼60기에 달한다.

제1호분은 북쪽 능선에 자리잡고 있고 봉토는 이미 유실된 상태였다. 묘실은 남북방향을 장축으로 장변 4m, 단변 1.5m, 높이 1.7m의 장방형 평면형태를 가지고 있다. 천장은 5매의 대형 판석으로 이루어졌다. 시상(屍床)은 북벽에 맞대어 설치되었는데, 시상의 동면ㆍ서면은 각기 묘실의 동벽ㆍ서벽에 붙어 있다.

시상의 길이는 130㎝, 높이는 30∼40㎝로서 상면(床面)에는 인골ㆍ반지ㆍ철편 등이 널려 있었고, 바닥에는 서벽에 치우쳐 토기류가 부장되어 있었다. 나머지 고분 중 제2ㆍ3ㆍ4호분은 제1호분과 구조 및 규모가 흡사하였다. 제5호분은 장변 2m, 단변 0.8m, 깊이 70㎝의 소형분으로서 지하에 축조되었으며, 벽과 바닥은 강돌을 이용하였다.

용성리고분의 공통적 특징은 묘실에 연도가 딸려 있지 않다는 점이다. 그리고 그 장법(葬法)은 소형분을 제외한 여타의 고분들에서는 부부합장, 혹은 추가장의 흔적이 보인다. 이러한 고분들이 축조된 배경에 대해 보고자는 용성리고분 출토 토기와 신라토기와의 유사성에 주목하면서 이 지역의 고대 종족들이 자신들의 풍속을 견지하면서 신라문화의 영향을 받아 나타난 것으로 보고 있다.

의의와 평가

고분의 축조연대는 이 지역이 신라의 세력권에 편입되는 6세기 중반 이후가 될 것이다. 이 고분은 강원도 북부와 함경남도 해안 일대에 분포하는 수많은 신라계 산성 고분들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안변 룡성리에서 나온 인골에 대하여」(백기하, 『고고민속』1965년 4호, 사회과학원출판사)
「동해안 일대의 신라 산봉우리성에 관한 연구」(량익룡, 『고고민속』1964년 2호, 사회과학원출판사)
「함경남도의 유래미상의 산성들과 고분들에 대하여」(한석정, 『문화유산』1960년 2호, 과학원출판사)
「안변 룡성리고분 발굴보고」(량익룡, 『문화유산』1958년 4호, 과학원출판사)
집필자
권오영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