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북산 기슭에서 100여 기가 확인되었으며 대체로 3∼5기씩 줄을 지어 분포하고 있다. 그 중 2기가 1964년 북한의 사회과학원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에 의해 발굴 조사되었다.
제1호분은 전체 고분군의 서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조사 당시 확인된 봉토의 규모는 동서 5m, 남북 6m, 높이 1.5m 정도로 타원형을 이루고 있었다. 묘실의 평면은 장방형으로서 정남향이며 널길은 동쪽에 치우쳐 있다.
묘실의 크기는 남북 길이 2m, 동서 너비 1.1m, 높이 0.6m이고, 널길은 길이 1.7m, 너비 5.5m, 높이 1m로서 널길의 바닥은 묘실의 바닥과 수평을 이룬다. 묘실의 벽은 할석을 쌓아서 구축하였으며 그 틈은 막돌로 메웠다.
천장은 모줄임천장[抹角天障]으로서 묘실바닥에서의 높이는 1.6m에 달한다. 관대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유물은 6개만이 발견되었다.
제2호분은 전체 고분군의 북쪽산 경사면에 위치한다. 봉토는 지름 7m 정도, 높이 1.3m 정도만이 남아 있다. 무덤의 구조는 방형의 묘실 가운데에 널길이 딸린 ‘모’자형의 돌방무덤이다. 장축은 북동-서남향이다.
묘실의 크기는 길이 26m, 너비 2.2m, 높이 0.8m이고, 널길은 길이 1.4m, 너비 0.8m, 높이 0.7m이다. 벽을 쌓은 방식과 천장구조는 제1호분과 유사하다. 유물은 관못 5개가 나왔을 뿐이다.
이 밖에 전체 고분의 분포에서 중앙에 나란히 동서로 놓인 4기의 고분은 가장 대규모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4기의 봉토는 연접해 있어서 남북 너비 1.8m, 동서 길이 35m, 높이 4.5m이다.
내부구조는 길이 3m 내외의 장방형석실이며, 벽은 납작한 판석으로 축조하고 겉에 회를 발랐다. 널길은 동쪽, 혹은 서쪽으로 치우쳐서 일정하지 않다. 천장은 역시 말각천장이다. 유물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이 고분군은 산간지대에 위치한 집단묘지로서 당시 고구려의 중심지였던 통구나 평양지방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에 위치한다는 점이 특이하다. 고구려 지방세력과 지방문화의 면모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