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세환 ()

안세환
안세환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민족대표 48인 중 한 사람으로, 3·1운동의 기획과 실행에 가담한 독립운동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2년(고종 29)
사망 연도
1927년
출생지
평안남도 평원
관련 사건
105인 사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일제강점기 때, 민족대표 48인 중 한 사람으로, 3·1운동의 기획과 실행에 가담한 독립운동가.
개설

3·1운동 때 중앙지도체 48인중의 한 사람이다. 평안남도 평원 출신.

생애 및 활동사항

1911년 1월 이른바 105인사건에 연루되어 윤치호(尹致昊)·이승훈(李昇薰) 등과 함께 옥고를 치렀다.

조국광복의 기운이 고조되고 있던 1919년 2월 20일 밤, 당시 평양기독서원(平壤基督書院) 총무로 재직하면서 이갑성(李甲成)·오상근(吳尙根)·현순(玄楯)·함태영(咸台永) 등과 서울 남대문로5가의 함태영 집에서 만나, 독립운동에 관하여 협의하였다.

이튿날에는 다시 세브란스병원내의 이갑성 방에서 이승훈·박희도(朴熙道)·오기선(吳基善)·오화영(吳華英)·신홍식(申洪植)·김세환(金世煥)·함태영 등의 기독교측 대표들과 만나, 거족적인 독립운동을 전개하는 데 있어서 천도교측과의 연합문제에 대하여 협의하였다.

22일에는 다시 기독교측 대표들과 만나 무조건 천도교측과 연합하여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기로 결정하고, 자신은 임규(林圭)와 함께 일본정부에 한국의 독립을 통보하고, 일본 귀족원과 중의원에 독립청원서와 이유서를 전달할 책임을 맡았다.

이에 박희도로부터 여비 500원을 받아 27일 남대문역을 출발하여 3월 1일 동경역에 도착, 우선 간타구[神田區] 준하대(駿河臺)의 용명관(龍名館)에 투숙하였다.

3월 4일에는 경시청에 가서 경시총감을 만나 여러 차례 조선독립의 당위성을 설명하다가 3월 5일 붙잡혔다. 그뒤 재판이 계속되는 동안 긴 옥고를 치르다가 결국 무죄로 석방되었다.

상훈과 추모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독립운동사자료집』 5(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2)
『3·1운동비사』(이병헌, 시사시보사, 1959)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