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키와의 끝에 장방형의 드림새[垂板]가 부착되어 있는 무늬가 새겨져 있는 기와. 때로는 당초와(唐草瓦)·여막사(女莫斯) 등으로 불린다. 목조기와집의 추녀끝인 기왓골의 맨 끝에 얹어져 흘러내리는 눈과 빗물의 낙수를 돕고 있다.
형태에 따라 드림새의 너비가 암키와의 두께와 거의 같으며, 막새의 뒷면과 암키와의 앞끝이 서로 연결될 때 일직선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드림새의 턱면이 별도로 튀어나오지 않는 무퇴식[無顎式]과, 드림새의 폭이 암키와의 두께보다 두꺼워 막새의 뒷면 상단과 암키와의 앞끝이 서로 연결될 때 직각으로 접합되기 때문에 드림새의 턱면이 아래로 튀어나오게 되는 유퇴식[有顎式]의 두 종류로 구분되고 있다.
무퇴식은 삼국시대의 발견 예가 거의 없는 최초의 암막새로서 통일신라시대 직후인 7세기 후반경에 출현하여 잠시동안 유행하였고, 유퇴식은 통일신라시대의 초기인 8세기를 전후하여 암막새의 아래위가 점차 넓어지면서 본격적으로 제작되기 시작한 대표적인 기와로 주류를 차지하게 된다.
암막새는 여러 가지 무늬를 깊게 새긴 흙으로 구워 만든 제작틀[瓦範]에서 찍어 내어, 암키와의 앞끝과 그 뒷면을 서로 접합하여 경사가 많은 가마에 넣어 1,000°내외의 높은 온도로 구워서 만든 것으로, 시대와 지역에 따라 유형에 변화가 많고 무늬도 매우 다양하다. 무늬를 새기게 되는 드림새 자체가 너비가 좁은 장방형의 공간성 때문에 덩굴풀을 의장화한 당초무늬[唐草文]가 초기부터 주류를 이루어 장식되고 있다.
당초무늬는 만초와 같은 덩굴풀이 서로 비꼬여 뻗어나가는 모습으로 주엽(主葉)은 계속 굴절되고 지엽(枝葉)은 파생하여 반전되고 있는데, 양식적으로 주엽이 좌우측에서 각각 중심을 향하여 뻗어오는 내향대칭형(內向對稱形)과, 주엽이 중심에서 좌우측을 항하여 뻗어나가는 외향대칭형(外向對稱形)으로 분류된다. 그리고 주엽이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계속 연속적으로 굴절되고 있는 편행형(偏行形)이 있으나 소수 예에 불과하다.
그런데 당초무늬는 그 지엽 끝에 인동이나 보상화, 그리고 포도와 화엽 등의 여러 가지 무늬와 서로 조합되어 인동당초무늬[忍冬唐草文]·보상화당초무늬[寶相華唐草文]·포도당초무늬[葡萄唐草文]·화엽당초무늬[花葉唐草文] 등의 새로운 유형으로 화려하게 변화되면서 더욱 장식화되고 있다.
이 밖에도 벽사(辟邪)와 길상(吉祥)을 위한 봉황·난새·기린·용 따위 금수무늬[禽獸文] 가 폭넓게 채용되면서 훨씬 더 다양하게 변천되고 있다. 그러나 고려시대 이후부터는 이러한 여러 가지 무늬가 귀목무늬[鬼目文]로 대체되고 너비가 좁은 장방형의 드림새가 역삼각형으로 변형되면서 본래의 형태에서 크게 벗어나 점차 퇴화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