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키와

목차
관련 정보
수키와
수키와
공예
물품
목조건축의 지붕을 덮는 반원통형의 기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목조건축의 지붕을 덮는 반원통형의 기와.
내용

때로는 원와(圓瓦) · 부와(父瓦) · 남와(男瓦) · 웅와(雄瓦)라고 부른다. 흙으로 구워 만든 작은 원통을 세로로 2등분한 것으로 두 암키와 사이에 생기는 틈새 위에 엎어놓아 기왓등을 형성한다.

형태에 따라 하단부의 지름이 상단부의 지름보다 좁게 제작된 토시모양의 무단식(無段式)과, 하단부에 수키와를 서로 연접하기 위한 언강이라고 불리는 턱을 만들어 물림자리인 미구가 내밀고 있는 유단식(有段式)의 두 종류로 구분된다.

대체로 무단식은 삼국시대 초기부터 제작되기 시작하여 고구려 · 백제 · 신라에서 각각 유행한 것으로 통일신라 이후에는 약간씩 제작되어 소수의 작례(作例)를 보이고 있음에 반하여, 유단식은 삼국시대 말기부터 출현하여 통일신라시대에 주류를 차지한 대표적인 기와로서 고려 · 조선시대까지 그 전통이 계승되고 있다.

그런데 통일신라시대에 제작된 유단식은 미구의 앞쪽에 낮게 파인 절수홈이 설정되어 빗물을 기왓등에서 기왓골로 곧바로 흘러내리게 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는 유례도 보이고 있고, 미구의 뒷면에 수키와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못구멍이 뚫려 있는 경우도 확인되고 있어서 주목된다.

수키와는 작은 원통과 같은 나무로 된 제작틀인 모골(模骨)을 회전대 위에 올려놓고 삼베를 씌운 다음, 네모난 점토판을 그 바깥쪽에 둥그렇게 돌려 붙여 무늬가 새겨진 방망이[叩板]로 두들겨 성형하게 되는데 이것을 날기와[生瓦]라고 한다.

날기와는 10여일 동안 햇빛이 들지 않는 그늘에서 건조시켜 습기를 제거하고 세로로 2등분한 다음에, 경사가 많은 가마에 넣고 1,000℃ 내외의 높은 온도로 구워서 제작한다.

수키와의 겉면에는 방망이로 두드릴 때 생기는 돗자리무늬[繩蓆文] · 평행선무늬 · 격자무늬[格子文] 등의 선무늬와 꽃무늬 등 여러 가지 무늬가 남아 있고 이따끔 절 이름과 제작소 표지가 새겨져 있다.

이것은 처음에는 점토를 다지기 위한 기능에서 출발했으나 점차 장식적인 효과를 내기 위한 방법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가마와 수요처 사이의 수급 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문자와 특수한 표시를 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안쪽에는 삼베의 흔적인 포목흔(布目痕)이 남아 있다. 수키와는 암키와와 같이 목조건축의 지붕을 덮는 대표적인 기와로서 많은 수량이 제작되고 있는데, 눈과 빗물의 누수를 차단하여 목재의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기능성이 강조되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기와이다.

참고문헌

『朝鮮古蹟圖譜』 第三∼六(朝鮮總督府, 1916∼1918)
「다경와요지출토신라와전소고(多慶瓦窯址出土新羅瓦塼小考)」(김성구, 『미술자료』 33, 국립중앙박물관, 1983)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