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려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우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41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우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41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1책. 목활자본. 1941년 아들 승완(承完)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상연(權相淵)의 서문과 권말에 족손 용수(瑢秀)와 승완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29수, 가사 3편, 서(書) 9편, 제문 4편, 기(記) 3편, 잡저 6편, 권3은 부록으로 뇌사(誄辭) 12편, 묘갈명·묘표·묘지명·가장략(家狀略)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소박하면서도 사실적이며, 강개한 뜻이 시편마다 잘 나타나 있다. 「독상서(讀尙書)」·「서회(書懷)」 등은 글을 읽으며 책 속의 태고적 소박한 인간을 동경해 지은 것이며, 「춘흥(春興)」·「우야(雨夜)」·「산거잡영(山居雜詠)」 등은 계절의 변화를 묘사한 것이다. 「안강취리가(鞍岡醉吏歌)」는 한문 가사체로 동학란 때 안강 싸움에서 전사한 정찬두(鄭贊斗)를 예찬한 것이다.

서(書)의 「답김윤영문목(答金允永問目)」은 김경석(金慶錫)과 사서(四書)에 대해 의논한 것이다. 「금산록(錦山錄)」은 금산 기행문으로 탑봉(塔峯)·보리암(菩提菴)·풍류암(風流巖)·용굴(龍窟)·저두봉(猪頭峯) 등 금산의 절경을 묘사하고 있다.

이밖에도 강혁(江革)·장공예(張公藝)·우홍(牛弘) 등의 효행을 찬양한 「소학논설(小學論說)」과 을미사변의 전말을 초록한 「을미우록(乙未偶錄)」이 있다.

집필자
권오호(한학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