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정록 ()

목차
관련 정보
문헌
1877년 윤경규가 경사(經史) 중 왕자교육에 필요한 부분을 발췌하여 저술한 교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877년 윤경규가 경사(經史) 중 왕자교육에 필요한 부분을 발췌하여 저술한 교재.
내용

6권 3책. 필사본. 책명은 『주역』 몽괘(蒙卦)의 ‘몽이양정(蒙以養正)’에서 따온 것이다. 첫머리에 윤행준(尹行駿)의 서문과 범례가 있다.

권1은 국본(國本)·예교(豫敎)·보부(保傅), 권2는 저범(儲範)·저효(儲孝), 권3은 예학(睿學)·서연(書筵), 권4는 가례(嘉禮)·어호(御壺)·검덕(檢德), 권5는 계고(稽古), 권6은 면학(勉學)으로 되어 있다.

저자는 범례에서 경전(經傳) 중에서 왕세자교육에 관한 내용의 요지를 모아 대문(大文)으로 삼았고, 아동을 올바로 기르는 것은 성인(聖人)이며, 성인이 되기 위해서는 어릴 때부터 바른 마음을 배양하여야 되기 때문에 이 책을 만들게 되었다고 편찬취지를 설명하였다.

이 책은 주로 왕조에서 지켜야 할 일을 기록하여, 군왕이 될 왕세자의 교육을 목적으로 한 것이 그 특징이다. 태교(胎敎)에서부터 시작하여 일찍 교육을 실시하여야 된다는 주장하에 조교(早敎)의 방법과 어릴 때의 교육인 몽양(蒙養) 등을 다루고 있다.

규법을 지키는 데 있어서는 몸을 바로 하고 마음을 올바로 가지며 위의(威儀)를 갖추어야 한다고 하였으며, 세자가 부모를 봉양하는 절차 등을 규정하였다. 또한 왕가에서의 가례의식을 규정한 것 등은 왕가의 제도를 엿보게 한다.

이 책은 왕가에서 시행하던 의식과 왕가의 교육방법을 연구하는 데 도움을 주는 자료이나, 이 책이 진상되었는지 또는 어떻게 시행되었는지는 자세히 알 수 없다. 장서각 도서에 있다.

참고문헌

『양정록(養正錄)』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