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2년(숙종 28) 편자가 강도인본(江都印本) 『여문초(儷文抄)』 2권을 얻어 그 정선됨을 아끼고 소략함을 애석하게 여기던 중, 강백년(姜栢年)이 뽑은 문장에서 같은 것은 제외하고, 「여계초(儷啓抄)」에서 20수, 「첩산계(疊山啓)」에서 2수를 초하여 합한 165수를 편집, 1711년에 간행하였다. 권두에 필자의 서문이 있다.
10권 4책. 목활자본.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주무진(周茂振)의 「의추증비간태사소(擬追贈比干太師詔)」 등 조제류(詔制類) 24편, 권2에 악비(岳飛)의 「하강신표(賀講信表)」 등 표류 24편, 권3에 반시(潘時)의 「촉사도임사상표(蜀師到任謝上表)」 등 표류 30편이 실려 있다.
권4에 이류(李劉)의 「하사승상제태부계(賀史丞相除太傅啓)」 등 계류 27편, 권5에 진덕수(眞德秀)의 「위진제무죄가대사재집계(爲賑濟無罪可待謝宰執啓)」 등 계류 20편, 권6에 왕매(王邁)의 「하진제형무안무계(賀陳提刑無安撫啓)」 등 계류 14편, 권7에 방악(方岳)의 「회사독상계(回史督相啓)」 등 계류 13편이 실려 있다.
권8에 왕우칭(王禹偁)의 「의이정파힐리가한로포(擬李靖破頡利可汗露布)」 등 노포류 3편, 최치원(崔致遠)의 「황소격(黃巢檄)」 등 격류 4편, 소식(蘇軾)의 「집영전춘연여동치어(集英殿春宴女童致語)」 등 치어류 4편, 정돈후(程敦厚)의 「청치도주지주방(請致道住持酒榜)」의 방류 1편이 실려 있다.
권9에 비지류(碑志類) 1편, 서류(序類) 1편, 권10에 유신(庾信)의 「애강남부(哀江南賦)」, 왕발(王勃)의 「익주부자묘비명(益州夫子廟碑銘)」 등이 실려 있다.
각 문장에는 그 출전과 지은이의 약력 및 주해를 달았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는 1899년 황성서사(皇城書肆)에서 구입한 것이라고 부기되어 있다. 이로 미루어 조선 후기에 유가에서 널리 이용된 편서인 것으로 짐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