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치수 높이 16∼30㎝, 앞폭 32∼42㎝, 옆폭 20∼30㎝. 기본형태는 장방형으로 2단을 만들며, 하단은 평면의 널이 4각(四脚)을 끼우고 사방이 트인 시원한 공간을 만들고 있다. 상단은 뚜껑 1개 혹은 2개를 덮게 하고 그 내부에 벼루를 보관한다. 경우에 따라 서랍이 하나 있어 먹과 붓을 넣게 되어 있다.
다른 이름으로 연궤(硏几), 연대(硏臺), 연갑아(硏匣兒), 혹은 벼루집 이라고도 불렸다. 연상은 벼루 보관 상자 아래로 다리가 달린 형태인데 다리가 없는 상자 형태는 연갑이라 한다. 연갑은 고려사의 이승휴 열전에서 서안 위에 연갑을 올려두고 사용하였다는 기록이 전한다.
연상은 사랑방 보료 앞에 놓고 서안과 더불어 애용되고 있다. 상단에 뚜껑이 없이 벼루를 올려놓고 사용하는 연상도 있는데 이는 연대(硯臺)라 하며, 상단 주위에는 벼루가 노출되고 소반의 전과 같이 얕은 변이 아름답게 둘려 있다. 또, 해주반(海州盤)과 같이 네 다리 없이 양측에 판각을 만들어 투각장식한 형태도 있으며, 문갑이나 서안의 높이와 비슷하게 하여 문갑과 서안을 겸용하게 한 연상도 있다.
재료로는 은행나무·소나무·먹감나무가 가장 많이 쓰였으며, 중국의 화류목(樺榴木) 투각장식의 연상과 나전칠기 연상 등은 매우 화려한 고급품이 된다. 그리고 고귀한 선비의 품격을 높여 주는 죽제 연상도 많다.
재료를 더 세분하면 내부 서랍 부분에는 오동나무를 많이 썼고, 외부의 판재는 결이 고운 은행나무나 먹감나무, 기타 재목에 옻칠을 곱게 한다. 서랍의 무쇠고리 외에 금구장식은 거의 없으며, 하단에 풍혈장식(風穴裝飾 : 가장자리를 돌아가면 잘게 새겨 붙이는 꾸밈새)이 보인다. 후기의 것으로 보이는 연상에는 뚜껑과 서랍면에 모란·십장생·운학(雲鶴) 등의 돋을새김장식이 있는 것이 많고 대체로 나뭇결 무늬의 소박미를 그대로 살리고 있다.
판의 연결은 연귀짜임(귀끝을 모지게 엇벤 짜임)이 주가 되며 대나무못을 썼고, 뚜껑의 변두리는 통판도 있지만 문갑 등의 문판과 같이 4면에 문변자(門邊子 : 문짝의 좌우상하에 이어 댄 테두리나무)를 만들어 복판을 골재에 끼워 맞추는 턱솔짜임으로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