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년호 또는 원호(元號)라고도 한다. 연호의 사용은 중국에서 시작되었으며, 그 영향으로 우리나라, 일본, 월남 등에서도 사용하였다.
최초의 연호는 중국 한(漢)나라 무제(武帝) 때의 건원(建元)이다. 무제는 6년 혹은 4년마다 연호를 고쳤는데, 이후 이 기간은 무시되어 군주 일대에 몇 개가 되는 것이 보통이었다. 그러나 명나라 · 청나라 때는 1대에 한 연호[一世一元]를 사용하였다.
연호의 명칭에는 어떠한 사실을 상징하거나 이상을 표명하는 것이 가장 많으며, 불교 · 도교와 관계되는 것도 있고, 고전의 글귀를 취한 것도 있다. 그리고 연호는 원칙적으로 황제만이 사용하고, 제후왕은 독자적 연호를 사용하지 못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에 보이며, 금석문을 통해 확인된다. 광개토왕비에서 광개토왕이 영락(永樂)이라는 연호를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그 밖에 건흥오년명금동석가삼존불(建興五年銘金銅釋迦三尊佛) · 연가칠년명금동불상(延嘉七年銘金銅佛像) · 영강칠년명주형광배(永康七年銘舟形光背)를 통해 고구려에서는 건흥 · 연가 · 영강 등의 연호를 사용한 것을 알 수 있다. 백제는 칠지도(七支刀)의 명문을 통해 태화(泰和)라는 연호를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사적에서 확인되는 연호의 제정 · 사용은 신라 때부터이다. 즉, 법흥왕은 536년(법흥왕 23)에 독자적으로 연호를 세워 건원(建元)이라 하였다.
진흥왕 때 개국(開國) · 대창(大昌) · 홍제(鴻濟), 진평왕 때 건복(建福), 선덕왕 때 인평(仁平), 진덕왕 때 태화(太和)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822년(헌덕왕 14)에 웅주도독(熊州都督) 김헌창(金憲昌)이 반란을 일으켜 국호를 장안(長安), 연호를 경운(慶雲)이라 한 것도 주목된다.
발해에서는 고왕(高王: 大祚榮)이 연호를 세워 천통(天統)이라 하였다. 이후 역대 왕이 1개씩 독자적 연호를 제정, 사용했는데, 이는 명나라 · 청나라의 1세1원보다 앞서는 것이다.
후삼국시대의 궁예는 국호를 마진(摩震)이라 하고, 무태(武泰) · 성책(聖冊) 두 개의 연호를 사용했고, 다시 국호를 태봉(泰封)으로 고치고 수덕만세(水德萬歲) · 정개(政開) 두 개의 연호를 사용하였다.
고려의 태조는 천수(天授), 광종(光宗)은 광덕(光德) · 준풍(峻豊)의 연호를 세워 주체성을 발휘하였다. 또, 1135년(인종 13)에 묘청이 서경에서 반란을 일으키고, 국호를 대위(大爲), 연호를 천개(天開)라고 하였다.
조선은 명나라의 제후국을 자처해 독자적 연호를 사용하지 않았다. 그러나 갑오경장 때 개국기원을 채택, 왕조의 개국연차를 계상해 1894년을 개국기원 503년으로 표기하였다.
그 뒤 을미사변을 계기로 정권을 장악한 개화당내각은 1세1원의 연호사용을 원칙으로 내세워 건양(建陽)이라는 연호를 제정하였다. 대한제국의 수립으로 다시 광무(光武)라 고쳤으며, 순종이 즉위하면서 융희(隆熙)라는 연호를 세웠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 연호를 사용하다가 미군정기(1945∼1948)에는 서력기원을 사용하였다. 1948년 대한민국정부수립 후에는 연호에 관한 법률(법률 제4호)에 의해 단군기원을 공용연호로 제정, 서기 1948년을 단기 4281년으로 사용하였다. 그 뒤 국제조류에 따라 1961년에 연호에 관한 법률(법률 제775호)을 공포, 서력기원을 공용연호로 사용하게 되었다.
중국은 중화민국이 성립되면서 폐지되고, 지금은 일본에서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사용한 연호는 군주의 치세연차적 의미와 왕조의 개국연차적 의미 등이 혼용되어오다가, 대한민국정부수립 이후에는 연호에 관한 법률에 의거, 단기 또는 서기를 사용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역대에 제정, 사용했던 연호를 보면 〈표〉와 같다.
연호 | 국호 | 왕명 | 기간 |
---|---|---|---|
永樂 | 고구려 | 광개토대왕 | 391-412 |
建興 | 고구려 | ? | ? |
建元 | 신라 | 법흥왕 | 536~550 |
開國 | 신라 | 진흥왕 | 551~567 |
大昌 | 신라 | 진흥왕 | 568~571 |
鴻濟 | 신라 | 진흥왕 | 572~583 |
建福 | 신라 | 진평왕 | 584~633 |
仁平 | 신라 | 선덕왕 | 634~647 |
太和 | 신라 | 진덕왕 | 647~650 |
天統 | 신라 | 고왕 | 699~719 |
仁安 | 발해 | 무왕 | 719~737 |
大興 | 발해 | 문왕 | 737~793 |
中興 | 발해 | 성왕 | 794~795 |
正曆 | 발해 | 강왕 | 795~809 |
永德 | 발해 | 정왕 | 809~813 |
朱雀 | 발해 | 희왕 | 813~818 |
太始 | 발해 | 간왕 | 818 |
建興 | 발해 | 선왕 | 818~830 |
咸和 | 발해 | 이진 | 830~858 |
慶元 | 장안 | 김헌창 | 822 |
武泰 | 마진 | 궁예 | 904~905 |
聖冊 | 마진 | 궁예 | 905~910 |
水德萬歲 | 태봉 | 궁예 | 911~913 |
政開 | 태봉 | 궁예 | 914~917 |
天授 | 고려 | 태조 | 918~933 |
光德 | 고려 | 광종 | 950~951 |
峻豊 | 고려 | 광종 | 960~963 |
天開 | 대위 | 묘청 | 1135 |
建陽 | 조선 | 고종 | 1896~1897 |
光武 | 대한제국 | 고종 | 1897~1907 |
隆熙 | 대한제국 | 순종 | 1945~1948 |
西曆紀元 | 남조선과도정부기 | ||
檀君紀元 | 대한민국 | 1948~1961 | |
西曆紀元 | 대한민국 | 1961~현재 | |
〈표〉 연호의 변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