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가진각대사증도가 ()

목차
관련 정보
영가진각대사증도가
영가진각대사증도가
불교
문헌
문화재
고려후기 에 간행한 『증도가』를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
국가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영가진각대사증도가(1986)(永嘉眞覺大師證道歌(1986))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1986년 11월 29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9길 10-10 (충정로2가, (재)현담문고)
목차
정의
고려후기 에 간행한 『증도가』를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
내용

1986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1권 1책. 목판본. 권말의 기록에 의하면, 이 판본은 1209년(희종 5) 보제사(普濟寺)의 요오(了悟)가 사문(沙門) 소충(紹忠), 속인(俗人) 선경(善慶)과 함께 발원하여 간행한 것을 기해년에 문림랑사재소경(文林郎司宰少卿)으로 있던 이시무(李時茂)가 중조(重雕)한 것이다. 여기에서 기해년이 언제인지 확실하지 않으나 문관(文官) 종9품의 품계인 문림랑이 1308년(충렬왕 34)에 통사랑으로 고쳐졌으므로, 1239년(고종 26) 또는 1299년의 기해년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 판본은 고려시대에 간행된 판본일 뿐 아니라 특히 영가진각대사의 누이인 정거의 주해본인 점에서 그 가치가 크다. (재)아단문고에 있다.

참고문헌

『동산문화재지정조사보고서(動産文化財指定調査報告書)』(천혜봉·박상국, 문화재관리국, 1985)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박상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