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기(基). 1986년 전라남도 민속자료(현, 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군서면 서구림리와 학산면 용산리의 경계인 속칭 메밀방죽 옆에 있다. 이 장생은 인근 약 2km 거리에 있는 영암 죽정리 국장생(國長生)이나 영암 소전머리 황장생(皇長生)처럼 방형(方形)의 장생이 아닌 부정형(不定形)을 이루고 있다.
자연상태의 화강암을 이용하였기 때문인지 아니면 부분적으로 파손되어 그런 것인지 확인할 길은 없지만, 처음에는 국장생 · 황장생과 같이 방형의 입석 장생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크기는 높이 132cm, 너비 72cm이다. 몸체 전면에는 고어체(古語體)로 ‘□長生(□장생)’이라는 글씨가 음각 되어 있는데 첫 글자는 한쪽이 떨어져나가 판독이 불가능하다.
글씨의 크기는 ‘長(장)’자가 가로, 세로 각각 40cm, ‘生(생)’자가 가로 40cm, 세로 29cm이다. ‘長生(장생)’이라는 표기에 주목하여 본다면 국장생 · 황장생과 궤를 같이 한다. 곧, ‘장생’이라는 표기가 신라와 고려 전기에 사용된 것으로 보아 제작시기 역시 고려 전기이거나 이보다 앞선 시기일 것으로 일단 추정해볼 수 있다.
또한 이 장생은 소전머리황장생과 죽정리국장생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그것은 도갑사와 관련된 죽정리 국장생에서 확인된 ‘石標四坐(석표사좌)’라는 글씨에서 바로 사좌 가운데 하나일 것으로 추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장생은 도갑사와 관련된 사찰장승으로서 사역(寺域)을 표시하고 사찰로 들어오는 잡귀 · 잡신을 막아주는 벽사(辟邪)와 금표(禁標제한하는 표식) 기능을 맡았던 것으로 보인다. 본래 위치가 현재와 같다면 도갑사의 경역이 대단히 넓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