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 3·1운동 ( )

목차
근대사
사건
1919년 3·1운동 때 평안남도 영원군에서 일어난 독립만세운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19년 3·1운동 때 평안남도 영원군에서 일어난 독립만세운동.
내용

영원군내의 독립만세운동은 3월 7일 최종식(崔宗植)을 중심으로 한 천도교인 35명이 독립선언서를 배포하고 태극기를 들고 독립만세를 부르며 시위행진을 한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 만세운동에서는 일본헌병의 무자비한 탄압으로 말미암아 35명 전원이 잡히고 말았다. 그뒤 3월 9일 오후 1시 200여 명의 천도교인들은 다시 읍내 밖에서 모여 독립만세운동을 전개, 헌병분견대로 행진해가서 전날 구금된 만세운동자들의 석방을 요구하였다.

이 때 일본헌병들이 군중의 시위를 제지하며 총포를 발사하는 틈을 타서 별실에 갇혀 있던 피검자들은 문을 부수고 몰려나와 군중과 합세하여 다시 독립만세시위행진에 들어갔다. 연도에서 이를 지켜보던 주민 또한 시위대열에 뛰어들어 만세를 부르니 군중의 수는 점점 늘어났다.

이 때 덕천 읍내에서 파견된 장교 이하 보병 10명은 군중 뒤에서 무차별사격을 감행하여, 독립만세 시위대는 현장에서 15명이 사망하고, 34명이 부상하였으며, 70여 명이 잡혔다.

참고문헌

『독립운동사』 2(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