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풍산업㈜ (())

경제
단체
광산 개발과 광산물의 제련가공 등을 주로 하였던 기업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광산 개발과 광산물의 제련가공 등을 주로 하였던 기업체.
연원 및 변천

이 기업은 1959년 11월 비철금속광업으로 특성이 있는 칠성광업주식회사로 발족했으며, 1961년 2월에는 경상북도 봉화군에 연화광업소를 설치하여 납·아연광을 개발하였고, 1963년 2월에 상호를 영풍광업주식회사로 변경하였다.

1969년 8월에는 강원도 삼척군에 제2연화광업소를 설치하였고 1974년 1월에는 부평광업소를 매수하였으며, 그 해 9월에는 한국크리스텐션롱이아주식회사를 인수하여 영풍빗트공업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75년 11월 연화광업소 선광장 처리규모를 증설하고, 1976년 12월에는 연화광업소의 선광장 처리규모를 월 6만 톤으로 증설하였다.

1977년 3월 운반시설의 기계화를 위하여 컨베이어시스템을 준공하는 등 시설을 확충하였다. 1977년 6월에 기업을 공개하였으며 1978년 3월에는 대농건설주식회사를 인수하여 영풍건설주식회사로 이름을 바꾸었으며, 1984년 7월에는 충청북도 금성군에 무극광업소를 설치하고 금·은광을 개발하였다. 1988년 대봉광업소(충청남도 청양군)을 설치하고 금· 은광을 개발하고, 1990년 (주)영풍콘크리트 설립한 뒤 곧 (주) 영흥을 인수하였다.

그뒤 1992년 3월영풍산업(주)로 상호를 변경한 뒤 이해 영풍건설(주)를 흡수 합병하고, 1994년 사우디아라비아 제다(JEDDAH) 지점을 설치한 뒤 1995년에는 (주)영풍콘크리트가 (주)영흥을 흡수 합병하고 영풍공업(주)로 상호를 변경하였으며, 이해 말리공화국 바마코(BAMAKO) 지점을 설치하였으며, 1996년 ISO 9001 인증을 획득하였다. 그 뒤 1997년 미얀마 현지법인을 설립하고, 1998년에는 파푸아뉴기니아 현지법인을 설립하였다.

이해 수륜광업소(경북 성주군)를 설치하여 금·은광을 개발하였고, 파푸아뉴기니아 쿠타산(Mt. Kuta) 금광 광업권을 취득하였으며, 1999년 7월에는 영풍공업(주) 및 영풍기계공업(주)를 흡수 합병하였다.

현황

자원개발정책에 따라 국내의 고가 광종 개발에 힘썼으며, 아울러 해외 지하자원 개발에도 참여하였다. 1986년의 경우 시설규모는 연화광업소의 원광석 월 6만M/T처리시설, 제2연화광업소에 원광석 월 5만M/T 처리시설, 부평광업소에 원광석 월 2만 3,000M/T 처리능력을 보유하였으며, 연간 생산능력은 안정광 1만 3,934M/T, 아연광 10만 1,072M/T, 동정광 1,171M/T, 은정광 3,961M/T 등이었다.

주식회사영풍·영풍건설주식회사 등 방계회사를 가지고 있었으며, 종업원은 약 1,400여 명이었다. 주요 사업은 국내외 광산 개발과 용역업, 광산물의 제련가공과 매매업, 비철금속의 매매업, 수출입업, 부동산매매와 임대업, 토석채취업, 조림업 등이었다.

주요 제품과 구성비율은 아연정광 70.2%, 연정광 15.3%, 동정광 1.1%, 기타 13.1%로 되어 있었다. 1999년 말 당시 자본금은 570억 원, 총자산은 5,096억 원, 연간 매출액은 1,957억 원이었다. 본사는 1999년 말 당시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에 위치하였다.

2004년 경영난으로 영풍산업이 부도 처리되어 해체되고 자회사였던 (주)영풍 등이 독립하여 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참고문헌

『회사연감』(매일경제신문사, 198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