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교대한성결교회 (예수)

개신교
단체
1962년 설립된 한국 성결교의 한 교단.
이칭
약칭
예성
단체
설립 시기
1962년 4월
상위 단체
예수교대한성결교회 총회
소재지
서울시 종로구 인왕산로 1가길 11
전신
조선예수교동양선교회성결교회
발간지
성결신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예수교대한성결교회는 1962년 설립된 한국 성결교의 한 교단이다. 1921년 일본에서 설립된 조선예수교동양선교회성결교회 교단에 연원을 두고 있다. 1943년 일제 탄압으로 강제 해산되었다가 해방 후 기독교대한성결교회로 재건되었으나 신앙 노선으로 인한 혼란을 겪다가 1962년에 기존 교단에서 이탈하여 현 교단명이 설립되었다. 교육 기관으로 성결대학교, 성결교신대원, 총회성결교신학교가 있다.

정의
1962년 설립된 한국 성결교의 한 교단.
설립 목적

1962년 4월 기독교대한성결교회에서 신앙 노선의 차이로 갈라져 나왔으며, 웨슬리(Wesley, 주1의 성경적 복음을 따르고 전한다.

변천 및 현황

예수교대한성결교회는 1901년 감리교인 카우만(Cowman, C. E.)과 그의 친구 킬보른(Kilbourne, E. A.)이 웨슬리의 성경적 복음을 전하기 위해 일본에 독자적으로 설립한 동양선교회(Oriental Missionary Society)에 의해 1921년 9월 만들어진 ‘조선예수교동양선교회성결교회’ 교단에 그 연원을 두고 있다. 동양선교회는 1901년 일본 도쿄에 성서 학원을 설립하고 전도자를 양성하였는데, 이 학교를 졸업한 정빈, 김상준이 귀국하여 전도한 일이 교단의 전신이다.

이 교단은 1940년 일제의 탄압으로 선교사들이 한국을 떠났으며 1943년 12월 주2 사상의 주3을 이유로 강제 해산당했으나, 광복을 맞아 ‘기독교대한성결교회’라는 명칭으로 재건되었다. 그러나 1961년 4월 기독교 연합 기관인 한국기독교교회협회(NCC)와 복음동지협의회(NAE)에 가입한 일로 인하여 교단 내의 분열이 야기되었다.

당시 교단 내의 지배적 분위기가 탈퇴보다는 보류 쪽으로 기울게 되자, 기존의 교단 노선을 비판하던 측에서 “연합 기관에서 탈퇴하는 동시에 신앙의 세속적 부패를 바로잡아 본래의 성결교회 복음 신앙 노선으로 돌아가자”라는 주장을 내세우며 분립을 결정하게 되었다.

1961년 12월에 교단의 통합을 위한 합동 특별 총회를 가졌으나 두 진영 사이의 갈등은 지속되었고, 이듬해 4월 제17회 총회에서 신앙 노선의 환원과 동시에 교단 명칭도 ‘예수교대한성결교회’로 바꾸고 기존 교단에서 이탈하였다.

분립 당시 600여 교회 가운데 270여 교회가 참가했으나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측의 불법 단체 주장으로 한때 교세를 상실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1963년 4월 법인 인가를 받고 기관지 『성결』을 발행하기 시작했으며, 같은 해 11월에는 종로구 행촌동에 신학교를 설립하여 1965년 12월에 첫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그 과정에서도 동양선교회 선교사와 기성 교단과의 갈등이 계속 진행되었다.

1981년 5월 예수교대한성결교회 60주년 연차 주4 및 총회를 개최하고 성서 교육의 평생 교육화를 교단의 교육 정책으로 채택하였으며, 개신교 전래 100주년을 맞은 1984년 5월에는 1973년에 이탈한 53개 교회가 다시 복귀함에 따라 총회성결교신학교를 확장하고 교세가 신장되었으며, 1988년에는 예수교대한성결교회 연합측과의 재결합을 성사하였다.

2023년 기준 1,245개 교회와 16만여 명의 교인이 있으며, 교육기관으로 성결대학교, 성결교신대원, 총회성결교신학교가 있다.

주요 활동

예수교대한성결교회 교단은 주5 · 주6 · 주7 · 재림의 4중 복음과 7개 항목의 지도 원리를 중심으로 삼고 있다. 사도 주8을 바탕으로 하는 복음 신앙 노선을 지키고 주9 중심 교회를 세우며, 신자의 심령 주10을 꾀하며 그리스도의 재림를 기다리는 것 등이 그 주요 내용이다. 교단의 조직은 주11주12를 기본으로 하여 감찰회, 지방회, 총회가 있다. 보수 신앙을 지키기 위해 보수교단협의회에 가입하고 있으며 정치적으로 국제기독교연합회(ICCC)에 참여하고 있다.

1992년 10월 88체육관에서 예수교대한성결교회 세계 선교 대회를 개최하였고, 1995년 10월 1일 잠실올림픽경기장에서 95AWF(Alliance World Fellowship)대회와 성결인의 세계 대회를 개최하여 해외 57개국에서 1,000여 명이 방문, 참석하였다. 2005년 10월 27일에는 예수교대한성결교회 100주년 비전 선포식, 2007년 5월 20일에는 교단 선교 100주년 기념으로 예수교대한성결교회 100주년 기념 대회를 성결대학교에서 개최하였다.

의의 및 평가

예수교대한성결교회는 1962년 4월 기독교대한성결교회에서 신앙 노선의 차이로 갈라져 나온 보수적 복음 신앙 성격의 교단이다. ‘예성’이라는 약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덕환, 『한국교회교단형성사』 (정원문화사, 1985)
이천영, 『성결교회사』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출판부, 1970)
한국종교사회연구소 편저, 『한국종교연감』 (고려한림원, 1997)
『기독교연감』 (NCC, 1985)
『예수교대한성결교회 100주년기념 교회연감』 (예수교대한성결교회 10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2009)

인터넷 자료

예수교대한성결교회(www.sungkyul.org)
주석
주1

존 웨슬리, 영국의 신학자ㆍ목사(1703~1791). 감리교회의 창시자이며, 독일 경건주의의 영향을 받아 개인의 내적 체험과 성결한 생활을 중시하는 신학을 제창하였다. 우리말샘

주2

세상의 마지막 날에 그리스도가 세상을 심판하기 위하여 다시 이 세상에 나타난다는 일. 우리말샘

주3

사상이나 태도 따위가 통치 권력이나 체제에 순응하지 않고 맞서는 성질. 우리말샘

주4

정기적으로 해마다 열리는 대회. 우리말샘

주5

원죄 때문에 죽었던 영이 예수를 믿음으로 해서 영적으로 다시 새사람이 됨. 우리말샘

주6

거룩하고 깨끗함. 우리말샘

주7

여러 번 타일러 깨우쳐 줌. 우리말샘

주8

기독교의 신앙 고백으로서 기독교의 기본적인 교리를 요약한 것. 예배 때 이를 외움으로써 삼위일체의 하나님과 하나님이 하는 일을 믿는다고 다짐한다. 창조주 하나님, 예수의 동정녀 탄생, 십자가 죽음, 부활 따위에 대한 고백이 들어 있다. 우리말샘

주9

예수에 대한 칭호. 머리에 성유(聖油) 부음을 받은 자, 곧 왕이나 구세주라는 뜻이다. 우리말샘

주10

쇠퇴하였던 것이 다시 일어남. 또는 그렇게 되게 함. 우리말샘

주11

기독교에서, 공동체가 되는 교파에 속하여 있는 개별적 교회당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2

장로교, 성결교 등에서, 교회 안의 목사와 장로가 모이는 회합. 모든 교인의 신앙 행위를 관찰하고 학습ㆍ입교ㆍ세례 따위의 사무를 처리하며, 장로와 집사의 선출ㆍ출교(黜敎)ㆍ해벌(解罰) 따위를 감독한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