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동나무 (나무)

식물
생물
현삼과에 속하는 낙엽교목.
정의
현삼과에 속하는 낙엽교목.
내용

학명은 Paulownia coreana UYEKI 이다. 원산지는 울릉도로 추측된다. 주1와 같이 자라며 외모가 비슷하지만 잎 뒷면에 다갈색 털이 있고 주14에 자줏빛이 도는 점선이 없는 점이 다르다. 높이는 15m에 달하고 뿌리는 주2이다.

잎은 마주나고 둥근달걀모양 또는 타원모양이지만 흔히 5각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은 주3이다. 길이 15∼23㎝, 너비 12∼29㎝로 표면에는 털이 거의 없고 뒷면에는 갈색 별모양털이 많으며, 주4는 9∼21㎝로 잔털이 있다. 꽃은 5, 6월에 잎보다 먼저 피며 가지 끝의 원뿔모양꽃차례에 달린다. 꽃부리는 길이 6㎝ 정도로 자주색이지만 끝부분은 황색이고 안팎에 별모양털과 샘털이 있다. 과실은 주6로 구형이며 10월에 성숙하고 삭과당 종자수는 2,000∼3,000개이다.

최근 오동나무재배가 크게 각광을 받게된 것은 1년에 1∼2.5m씩 자라며 6 · 7년이면 가슴높이지름이 20∼25㎝에 달하는 등 생장이 빨라 자본회수기간이 짧을 뿐 아니라 목재의 용도가 다양하여 기업림 조성은 물론 농촌부업림으로 매우 유망하기 때문이다.

생태

현재 우리나라에 재배되고 있는 것은 오동나무 · 참오동나무 · 대만오동나무 등 3종류이며 재배가능지역은 중부 이남의 높이 400m 이하의 마을부근의 비옥한 땅이다.

이 중 참오동나무가 많이 재배되고 있는데, 이는 재목이 회백색 또는 은백색으로 탄력성과 광택이 있어서 공예적 용도에 좋고, 다른 종에 비하여 비교적 내한성(耐寒性)이 강하여 -25℃에서도 견딜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20℃ 이하로 기온이 급강하하면 피해를 받는다.

오동나무는 주7이 많고 바람의 피해가 적고, 양분이 많으며 토심이 80∼90㎝이고 아래에 주8이 있어 과습하지 않고 물이 잘 빠지는 곳이 좋다. 특히, 병균의 침해를 잘 받으므로 재배상의 기술과 주의를 요한다.

효능 및 기능

오동나무의 용도는 다양하나 가볍고 방습과 방충에 강하므로 · 상자 · 악기류 제작에 좋다. 따라서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은 딸을 낳으면 뜰안에 오동나무를 심어 결혼할 때 장을 만들어 주었다. 또, 오동나무의 껍질은 동피(桐柀)라 하여 약재로 쓰였다.

약성은 한(寒)하고 고(苦)하며, 주9 · 양혈(凉血)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로 주10 · 주11 · 치질(痔疾) · 주12 · 주13에 치료제로 쓰인다.

참고문헌

『약용식물학』(임기흥, 동명사, 1961)
『대한식물도감』(이창복, 향문사, 1982)
주석
주1

현삼과의 낙엽 활엽 교목. 높이는 10~15미터이며, 잎은 넓은 피침 모양인데 뒷면에 흰 잔털이 많다. 5월에 흰색 또는 자주색 꽃이 원추(圓錐) 화서로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둥근 삭과(蒴果)로 10월에 익는다. 정원수이고 재목은 옷장, 나막신, 상자, 악기 따위의 재료로 쓰인다. 촌락 부근의 비옥한 땅에서 자라는데 한국의 황해도 이남과 울릉도,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2

뿌리가 깊이 뻗어 들어가지 않고 지표면 근처에 얕게 분포하는 나무. 바람과 건조에 약하다. 우리말샘

주3

심장 모양을 하고 있는 잎밑의 모양. 잎의 하단부의 형태와 각도 등에 따라 모양의 이름이 정해진다. 우리말샘

주4

잎몸을 줄기나 가지에 붙게 하는 꼭지 부분. 잎을 햇빛의 방향으로 향하게 한다. 우리말샘

주6

여러 개의 씨방으로 된 열매

주7

저절로 생육하는 식물체나 그 잎이 받는 빛의 양. 식물이 생육하는 데에 필요한 빛의 최소량이다. 우리말샘

주8

자갈로 이루어진 지층. 우리말샘

주9

부은 종기나 상처를 치료함. 또는 그런 방법. 우리말샘

주10

작은 종기. 우리말샘

주11

헌데나 부스럼. 우리말샘

주12

피부의 헌데나 다친 곳으로 세균이 들어가서 열이 높아지고 얼굴이 붉어지며 붓게 되어 부기(浮氣), 동통을 일으키는 전염병. 우리말샘

주13

맞거나 부딪쳐 생긴 상처. 우리말샘

주14

꽃잎 전체를 이르는 말. 꽃받침과 함께 꽃술을 보호한다. 꽃잎이 하나씩 갈라져 있는 것을 ‘갈래꽃부리’, 합쳐 있는 것을 ‘통꽃부리’라고 한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우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