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관련 정보
의걸이장
의걸이장
공예
물품
수납장의 총칭.
이칭
이칭
용목장, 먹감나무장, 죽장, 버선장, 애기장, 반닫이장, 서장, 도포장, 의걸이장, 탁자장, 경축장, 찬장, 찬탁자장, 수장, 화각장, 화초장, 나전장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수납장의 총칭.
내용

장과 농(籠)은 개판(蓋板: 맨 위에 댄 나무판)에 의해 구별된다. 장은 개판(이마받이 天板)을 가지되 몸체보다 좌우로 약 3∼4㎝ 더 크고 몸체는 층별로 분리됨이 없이 통으로 쓰게 된다.

중앙에는 두 짝의 문판을 달아 2층 또는 3층 등의 칸을 만들어 의류를 보관하게 되어 있다. 농은 개판이 없으며 몸체와 천판이 같은 상자형으로서 중앙에 문판을 달아 상하로 분리되어 서로 포개놓고 의류 등을 저장하게 되어 있다.

대체로 대형 장은 방 윗목에, 소형 장은 아랫목에 놓고 썼는데, 장 위에는 혼함(婚函) · 궤(櫃) 등을 올려놓고 장식하기도 한다. 종류로는 층별에 따라 2층장 ·3층장 ·4층장 등으로 불리는 것이 있고, 재료에 따라 용목장 · 먹감나무장 · 죽장(竹欌) 등으로도 불린다.

안방용 소형 장으로는 버선장 · 애기장 · 반닫이장 등이 있고, 사랑용에는 서장(書欌) · 도포장 · 의걸이장 · 탁자장(卓子欌) 외에 두루마리 서권(書卷) 등을 보관하는 단층의 경축장(經竺欌)과 같은 머릿장이 있다. 그리고 주방용의 식기장으로서 찬장(饌欌) · 찬탁자장(饌卓子欌) 등이 있다.

장의 구조로서 가장 눈에 뜨이는 개판짜임새는 두가지가 있는데, 그 하나는 두꺼운 통판을 그대로 사용한 개판(서안 · 문갑 · 머릿장용)과, 또하나는 골재(骨材)와 판재(板材)를 짜맞추어 사변을 골주(骨柱)에 직접 대고 그 안을 널판으로 끼워 맞춘 개판(장 · 탁자 등) 형태가 있다.

기둥과 쇠목을 이을 때는 촉짜임이 되고 모서리귀는 연귀짜임이 되는데 사변의 골주에 널판을 끼울 때는 턱솔짜임이 된다. 이와 같은 턱솔짜임은 판재가 휘거나 수축하는 것을 막기 위해 고려된 것으로 문변자(門邊子: 문짝의 좌우상하에 이어 댄 테두리나무)를 두른 문판 등에도 이용된다.

장은 전면에 부재(附材)를 써서 장식적 효과를 잘 나타내게 되므로 목재의 성격에 따라 골재와 판재를 선택하게 된다. 안방용 부재로는 느티나무 · 소나무 · 오동나무가 많으며, 채색을 넣어 화려한 장식을 한 것으로 수장(繡欌) · 화각장(華角欌) · 화초장(花草欌) · 나전장(螺鈿欌) 등이 있다.

사랑용으로는 광택이 없고 검소를 선비의 모범으로 생각해 주로 나뭇결무늬의 소박미를 나타낸 소나무 · 오동나무 · 참죽 · 죽재 · 괴목 등이 주재(主材)이다. 기본치수는 〈표〉와 같다.

종류\규격 높이 앞면너비 옆면너비
단층장 90~120 60~ 80 35~50
2·3·4층장 110~220 65~120 35~55
의거리장 160~170 85~100 40~55
서장 80~178 70~ 85 32~40
〈표〉 장의 기본치수 (단위: ㎝)

참고문헌

『한국의 목공예』(이종석, 열화당, 1986)
『이조목공가구의 미(美)』(배만실, 보성문화사, 1978)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