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학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경기도 안성군 원곡면과 양성면 일대의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한 독립운동가.
이칭
이칭
오성구(吳聲九)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8년(고종 35) 11월 13일
사망 연도
1977년 11월 21일
출생지
경기도 안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일제강점기 때, 경기도 안성군 원곡면과 양성면 일대의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한 독립운동가.
개설

일명 오성구(吳聲九). 경기도 안성 출신.

생애 및 활동사항

1919년 4월 1일 밤, 안성군 원곡면·양성면 일대에서 동리사람들과 함께 산 위로 올라가 독립만세를 외치고, 9시 30분경 양성경찰주재소 앞에서 독립만세를 외쳤다.

이 때 1,000여 명의 시위대가 몰려오자 이들과 합세하여 선두에 서서 주재소에 투석하고, 사무실로 들어가 집기와 서류를 쌓아놓고 짚에다 불을 붙여 방화하였다. 이어서 양성우편소로 가서 집기와 서류를 앞마당에 쌓아놓고 불태워버리는 등 격렬하게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다가 잡혀 7년간의 옥고를 치렀다.

상훈과 추모

1977년 건국포장, 1990년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독립운동사자료』 5(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