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정방 ()

안성 정무공 오정방 고택
안성 정무공 오정방 고택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시대 진주목사, 황해도병마절도사, 포도대장 등을 역임한 무신.
이칭
영언(英彦)이며
퇴전당(退全堂)
시호
정무(貞武)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52년(명종 7)
사망 연도
1625년(인조 3)
본관
해주(海州)
출생지
안성
주요 관직
전라도병마절도사|경상우도병마절도사|진주목사|황해도병마절도사|포도대장
관련 사건
임진왜란
정의
조선시대 진주목사, 황해도병마절도사, 포도대장 등을 역임한 무신.
개설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영언(英彦), 호는 퇴전당(退全堂). 안성 출신. 할아버지는 증승지 오경운(吳慶雲)이고, 아버지는 호군 오수천(吳壽千)이다. 어머니는 이해(李嶰)의 딸이다. 작은아버지인 수군우후(水軍虞候) 오수억(吳壽億)에게 입양되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83년(선조 16) 무과에 장원급제하자, 이이(李珥)가 인견(引見)하고 참으로 영재를 얻었다고 칭찬하였다. 당시 북쪽에서 이탕개(泥湯介)가 종성 땅을 자주 침범하자 대사마(大司馬) 이일(李鎰)의 휘하에서 종군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도총부도사로 영흥 지방에서 의병 수천인과 힘을 합쳐 많은 전공을 세웠으며, 이어 부령부사·정평부사를 지냈다. 그뒤 동지중추부사 겸 부총관·포도대장·군기시제조·서북순변사 등을 지냈으며, 1603년에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승품되었다.

이듬해 전라도병마절도사가 되고, 이어 경상우도병마절도사 겸 진주목사와 황해도병마절도사를 역임하였다. 광해군 때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위를 적극 반대하다가 사직당하였다.

1623년(인조 1) 인조반정으로 다시 포도대장에 등용되었으며, 경상좌도병마절도사를 끝으로 관직에서 물러났다. 1624년 이괄(李适)의 난 때는 왕을 공주에까지 호종하였다. 뒤에 병조판서에 추증되고, 시호는 정무(貞武)이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인조실록(仁祖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천파집(天坡集)』
『청선고(淸選考)』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정하명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