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효원 ()

한문학
인물
일제강점기, 우리나라 · 중국 · 일본에서 활동했던 여성 교육자 · 여류문인.
이칭
경도(景陶)
몽금(夢今), 소파(小坡)
초명
덕원(德媛)
인물/전통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1889년
사망 연도
미상
본관
해주(海州)
출생지
의성(義城)
주요 저서
소파여사시집(小坡女士詩集)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오효원(吳孝媛)은 일제 강점기 우리나라·중국·일본에서 활동했던 여성 교육자·여류문인이다. 구로시회(九老詩會) 등 당시 조정 대신과 원로들이 결성한 시회(詩會)에 참여하여 시명(詩名)을 떨쳤으며, 일본과 중국에서 유학하며 당대 명사들과 교유하였다. 신명여학교(新明女學校)를 건립하였고, 신명여학교·숭신여학교(崇信女學校)·공옥여학교(攻玉女學校)에서 교사 생활을 하였다. 저서로는 『소파여사시집(小坡女士詩集)』이 있다.

정의
일제강점기, 우리나라 · 중국 · 일본에서 활동했던 여성 교육자 · 여류문인.
가계 및 인적사항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경도(景陶), 호는 몽금(夢今)이다. 경상북도 의성(義城) 출생이다. 1889년 오시선(吳時善, 18591927)과 이춘파(李春坡, 1867?)와의 사이에서 장녀로 출생했다. 초명은 덕원(德媛)이다.

주요 활동

1897년 9세부터 남장을 하고 서당에 나가 한문을 배웠으며 얼마 되지 않아 시를 지을 줄 알았다고 한다. 1898년(광무 2)에는 의성과 의흥(義興) 두 고을에서 시행된 백일장에서 장원을 차지하였는데, 답안지가 도성 문에 방으로 내걸 만큼 뛰어났다고 전해진다.

1902년(광무 6) 14세 때 공금을 사사로이 쓰는 일로 감옥에 수감된 아버지를 석방시키기 위해 홀로 서울에 상경하였고, 판서(判書) 김종한(金宗漢) · 민영선(閔泳璇) 등 당시 세도가들에게 청원하여 아버지를 석방시켰다. 서울에 상경하였을 당시 오효원은 여러 명사들의 시회(詩會)에 참여하며 시를 짓기도 하였다. 김성근(金聲根, 18351919) · 김종한 · 민영환(閔泳煥, 18611905) · 김가진(金嘉鎭, 1846~1922) 등 당시 조정의 대신들과 원로들이 결성한 구로시회(九老詩會)에 참석하여 지은 시가 그녀의 시집 『소파여사시집(小坡女士詩集)』에 수록되어 있다.

1908년부터 1918년까지 일본과 중국에 다녀왔다. 1908년에 일본에 가서 유학하는 한편, 여성의 교육 문제에 매우 적극적이어서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의 도움으로 일본에서 여학교 창립 자금을 모아 귀국한 후에 신명여학교(新明女學校)를 건립하기도 하였다. 1909년(융희 3) 21세에는 도쿄〔東京〕에 있던 한국공사대리(韓國公使代理) 신해영(申海永)과 약혼하였다. 그러나 신해영이 병사(病死)했고, 신해영이 병사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오효원은 고국으로 돌아와 4년간 신명 · 숭신(崇信) · 공옥(攻玉)의 여학교 교감들의 요청으로 교사 생활을 하며 지냈다. 1916년 28세에는 학생복 차림으로 중국 상하이에 갔다. 상하이에서 작품 활동을 하면서 『신신보사(申新報社)』에 시와 글을 게재해 생계를 유지하였으며, 주1 · 주2 · 주3 등 당대의 명사들과 두루 교유하며 시를 주고받았다.

1918년 중국에서 귀국한 직후에 윤명은(尹命殷)과 혼인하였다.

1928년에는 조선미술전람회에서 「백세청풍(百世淸風)」이라는 제목의 초서(草書) 작품으로 서예 부문에서 입선(入選)하였으며, 청량리에서 보육원 기금 모금 자선휘호회(揮毫會)를 펼쳤다.

세상을 떠난 시기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소파여사시집』에 1929년에 쓴 자서(自序)가 있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41세 이후에 세상을 떠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원전

오효원 지음, 신익철 옮김, 『역주 소파여사시집』(의성군, 2017)

단행본

이능화, 『조선해어화사(朝鮮解語花史)』(한남서림, 1926)

논문

강혜종, 「20세기 여성 문사에 대한 사회적 시선과 여성의 사회 참여 방식—『송설당집(松雪堂集)』과 『소파여사시집(小坡女士詩集)』을 중심으로—」(『열상고전연구』 32, 열상고전연구회, 2010)
김지용, 「소파 오효원의 사회활동과 시작」(『아세아여성연구』 17, 숙명여자대학교, 1978)
주석
주1

중국 청나라 말기에서 중화민국 초기의 정치가ㆍ학자(1858~1927). 열강의 중국 침략에 맞섰으며, 광서제를 옹립하여 개혁을 계획하였으나 서태후를 비롯한 보수파에 밀려 실패하였다. ⇒규범 표기는 ‘캉유웨이’이다. 우리말샘

주2

중국 청나라 말에서 중화민국 초의 정치가ㆍ사상가(1873~1929). 입헌 군주제를 주장하여 무술변법을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자 일본으로 망명하였다. 저서에 ≪중국 역사 연구법≫, ≪청대 학술 개론≫ 따위가 있다. ⇒규범 표기는 ‘량치차오’이다. 우리말샘

주3

중국의 정치가(1860~1938). 제이 혁명 때 위안스카이(袁世凱)의 직계 관료로서 우전부 상서(郵傳部尙書)에 이르렀으나, 후에 쑨원의 호법 운동(護法運動)에 가담하였으며, 중화민국 성립 후에는 국무원 총리를 지냈다. ⇒규범 표기는 ‘탕사오이’이다.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