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휘운고 ()

목차
관련 정보
언어·문자
문헌
조선후기 이경우가 운(韻) 중심의 한자어를 풀이하여 1812년에 간행한 주석서. 한자어주석서.
목차
정의
조선후기 이경우가 운(韻) 중심의 한자어를 풀이하여 1812년에 간행한 주석서. 한자어주석서.
내용

목판본. 이경우(李景羽)가 편찬하고 1812년 심정조(沈鼎祖)가 간행하였으며 순전히 한자로만 기록되어 있다.

원나라 음시부(陰時夫)가 지은 『운부군옥(韻府群玉)』은 20편이나 되어 너무 분량이 많아서 읽기가 불편하므로, 이를 간략하게 만들어 한권으로 편찬하고, 운옥(운부군옥)과 운고(韻考), 즉 유서(類書)와 운서(韻書)를 합해서 책이름을 ‘옥휘운고’라고 하였다.

책의 모든 면을 위와 아래 두 단으로 나누고, 아랫단에는 106운으로 된 『증보삼운통고(增補三韻通考)』의 내용을 거의 그대로 전재하고, 위의 단에는 아래에 수록되어 있는 한자들의 순서에 맞추어, 이들 한자를 운으로 하여 형성된 한자어들을 경전이나 역사책들에서 그 출처를 찾아서 설명하였다.

예를 들면, 아랫단의 동(東)운 첫머리에는 동(東)자가 수록되어 있는데, 이 동자를 운으로 하여 형성된 한자어를 위의 단에 배열하고, “吾道東漢馬融謂鄭玄事 易東 曰何謂丁寬事 丁東佩聲……” 등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참고문헌

『朝鮮語學史』(小倉進平, 東京 刀江書院, 1940)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강신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