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근묘 ()

목차
관련 정보
평안남도 대동군 석암동 왕근묘 전경
평안남도 대동군 석암동 왕근묘 전경
선사문화
유적
북한 평양직할시 락랑구역에 있는 초기국가시대 장신구와 무기류 등이 출토된 덧널무덤. 목곽묘.
이칭
이칭
석암리 219호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북한 평양직할시 락랑구역에 있는 초기국가시대 장신구와 무기류 등이 출토된 덧널무덤. 목곽묘.
개설

평양 낙랑구역 석암리 일대에는 2,000여 기 이상의 무덤이 집중 분포되어 있다. 이 무덤은 옛 지명을 따라 ‘석암리 219호분’이라고도 불린다.

왕근묘(王根墓)라는 이름은 관 내부에서 ‘왕근신인(王根信印)’이라는 글이 새겨진 은제도장(龜鈕銀印)이 출토되어 이 무덤의 피장자가 왕근이라는 사실이 밝혀져 붙여진 것이다. 낙랑군(樂浪郡)의 고분으로 추정된다. 1942년 6월에서 8월까지 2개월간 일본인 학자들에 의해 발굴조사되어 출토된 유물들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무덤의 봉분은 높이 약 6m, 한 변의 길이 약 24m의 절두방대형(截頭方臺形)을 이루고 있었다. 매장주체시설인 덧널은 한 변의 길이 4m, 깊이 2m의 네모모양의 구덩이를 파고 그 안에 남북 길이 3.1m, 동서 길이 3.6m, 높이 약 1m의 크기로 판재와 각재를 써서 만들었다.

이 덧널과 구덩이의 벽 사이에는 적판암의 판석을 돌려 덧널시설을 보호하고 있었다. 덧널 내부에는 중앙부에 기둥을 세워 내부를 동쪽과 서쪽 구역으로 나누고, 각각의 구역에 이중구조의 널[木棺]을 머리를 북쪽으로 해 하나씩 배치한 부부 어울무덤[合葬墳]의 형태이다.

껴묻거리[副葬品]는 널 내부와 널 밖의 둘레에 놓여 있었다. 껴묻거리의 내용으로 보아 서쪽의 널은 남자, 동쪽의 널은 여자의 것으로 추정된다. 서관(西棺)에는 앞의 은제도장과 함께 용호문(龍虎文)이 타출(打出)된 은제띠고리[銀製鉸具] 등의 장신구와 칼 등의 무기류가 있었다. 동관(東棺)에는 동제도장(鼻鈕銅印)을 비롯한 귀걸이·반지·구슬 등의 장신구가 있었다.

널 밖의 껴묻거리를 보면, 그릇류로는 ‘왕(王)’·‘왕씨(王氏)’ 등의 명문이 쓰인 칠기를 비롯해 박산로(博山爐)·편호(扁壺) 등의 동기(銅器), 화분모양토기를 이은 것으로 보이는 쇠단지[鐵壺]및 토기 등이 있다. 무기류로는 움무덤[土壙墓]등에서 보이는 동투겁창[銅矛]를 비롯한 세형동검 계통의 철제검 등이 있다.

그 밖에 눈에 띄는 것으로는 칠찰갑(漆札甲)과 일월(日月)을 상징하는 무늬가 있는 원형의 은판(銀板)이 장식된 칠전통(漆箭筒) 등을 들 수 있다. 거마구(車馬具)로는 북방계 문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 동물무늬가 타출되고 마노옥(瑪瑙玉)이 박혀 있는 특수한 형태의 은제장식띠고리(銀製飾金具) 등이 대표적이다.

유물상의 특징은 한식(漢式) 유물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마구 등 일부의 유물에 북방적인 요소가 가미되어 있고, 무기류에는 세형동검 계통과 철검 등의 토착적인 유물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밖에 다수의 껴묻거리와 함께 은제도장이 출토된 점으로 미뤄볼 때, 태수(太守) 정도의 높은 신분을 가진 지배층의 무덤으로 여겨진다.

의의와 평가

왕근묘는 석암리 52호분, 정백리 17호분, 정백동 2호분 등과 구조 및 껴묻거리의 배치면에서 유사하다. 껴묻거리의 성격 면에서는 세형동검문화의 전통을 잇는 유물들이 북방계 및 한식 유물과 혼재하고 있다. 덧널의 축조양식과 칠기 등 전한대(前漢代)의 특색을 지닌 껴묻거리의 내용으로 보아 이 무덤의 조성연대는 서기전 1세기 후반인 전한 말경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한국고고학사전』(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朝鮮古文化總攬』3(藤田亮策·梅原末治, 1959)
「樂浪漢墓 2-1: 石巖里第二·九號墓發掘調査報告」(榧本杜人·中村春壽, 樂浪漢墓刊行會, 197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