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담집 ()

목차
관련 정보
용담집
용담집
불교
문헌
조선 후기의 승려, 조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68년 9월에 판각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승려, 조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68년 9월에 판각한 시문집.
내용

1권 1책. 목판본. 1768년(영조 44) 9월 지리산 대암암(臺巖庵)에서 판각하여 감로암(甘露庵)으로 옮겨 보관하였다. 권두에 신순민(申舜民)의 서문과 홍계희(洪啓禧)의 서(書)가 있고, 권말에는 최재경(崔載卿)의 발문과 혜암(惠庵)이 지은 조관의 행장, 문인 한성(澣惺)이 쓴 후발(後跋)과 저자의 친필 2편이 있다. 신순민의 서에 의하면 이 문집은 조관의 제자 국태(國泰)가 유고를 수집하여 간행하였다는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본문에는 오언절구 47수, 칠언절구 86수, 오언율시 24수, 칠언율시 56수 등과 함께 「촉임종재방도인등유문(囑臨終在傍道人等遺文)」·「황령암중창기(黃嶺庵重創記)」·「명진대사출세통문(冥眞大師出世通文)」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중 「촉임종재방도인등유문」은 저자가 임종 때 유언한 것으로, 인생의 나고 죽음이 구름의 출몰과 같으므로 실(實)다운 것이 없음을 밝힌 다음, 상례에 있어 부질없이 부고를 하거나 49재를 모두 지내지 말고, 미타불공(彌陀佛供) 한 번으로 그칠 것을 당부하고 있다. 그리고 허무한 몸을 진실한 것으로 여기지 말 것을 깨우치고 있다. 「명진대사출세통문」은 명진대사가 입적한 뒤 영혼천도를 위하여 쓴 추도문이다.

이 책에 수록된 시는 저자의 높은 수행경지를 담고 있는 빼어난 작품이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