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암문집 ()

목차
관련 정보
우암문집
우암문집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문신, 홍언충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20년에 중간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홍언충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20년에 중간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720년(숙종 46) 종현손 상훈(相勛) 등이 중간하였다. 권두에 권두경(權斗經)의 서문이, 권말에 김우굉(金宇宏)의 발문과 종현손 상민(相民)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고려대학교 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서울대학교 도서관,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국역본으로 『우암고(寓菴稿)』가 있다.

권1∼3은 시 422수, 부(賦) 2편, 제문 1편, 권4는 부록으로 제문 2편, 축문 1편, 해동명신록(海東名臣錄) 1편, 묘갈 1편, 사(辭) 1편, 시 28수, 통문(通文) 2편, 정목백문(呈牧伯文) 1편, 상량문 1편, 세계도 등이 수록되어 있다.

부 중 「병상적부(病顙馰賦)」에서는 운명이 매우 기박한 별박이 말(이마에 별처럼 생긴 흰 털이 있는 말)이 마구간에서 귀를 늘어뜨리고 엎드려 있지만 자신을 알아주는 주인을 만나면 험난한 길도 사양하지 않을 것이라 하여, 자기의 처지와 비유, 순환(循環)의 천리를 묵묵히 기다린다고 하였다.

시 중 「갑자세여적진안현사장유불측자자분필사의고인자만이명지차계자손운운(甲子歲予謫鎭安縣事將有不測者自分必死擬古人自挽而銘之且戒子孫云云)」은 그가 갑자사화로 진안에 유배되어 옛사람의 자만시(自挽詩)를 모방하여 자기의 묘명(墓銘)을 짓고 자손에게 경계한 것이며, 또 「유곡역관(幽谷驛館)」도 유배가던 도중 유곡역에서 지은 것으로 만사를 모두 천명에 따른다 하였으니, 그의 견해가 잘 나타난 시이다.

또한, 「적중(謫中)」에서는 유배되어 효도를 다하지 못함을 안타깝게 여기고 천명을 기다린다 하였으니, 그의 지극한 효성심도 엿볼 수 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