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후요 ()

고전시가
작품
1618년(광해군 10)윤선도(尹善道)가 지은 시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618년(광해군 10)윤선도(尹善道)가 지은 시조.
구성 및 형식

『고산유고(孤山遺稿)』 제6권 하편 별집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는 30세 때인 1616년 당시 예조판서 이이첨(李爾瞻) 일파의 문란한 정치를 탄핵하다가 함경도 경원으로 유배를 가게 되었는데, 이 작품은 그곳에서 지은 것이다.

내용 및 평가

작자 자신의 서문에 의하면, 당시 어떤 재상이 자신의 잘못을 고쳤다는 말을 듣고, 마침 오래 내리던 비도 개고 구름이 걷히므로 이 작품을 지었다고 한다.

구즌 비 개단 말가 흐리던 구룸 걷단 말가,

압 내희 기픈 소히 다 ᄆᆞᆰ앗다 ᄒᆞᄂᆞᄉᆞᆫ다

진실로 ᄆᆞᆰ디 옫 ᄆᆞᆰ아시면 갇긴 시서 오리라

여기에서 ‘궂은 비’와 ‘흐린 구름’은 다같이 임금의 총명(해)을 가리는 충성스럽지 못한 신하들을 가리킨다. 흐린 구름이 궂은 비로 내려서 이루어진 것이 흐린 못〔沼〕이니 어지러운 조정을 가리키는 것이다.

구름이 걷히고 궂은 비가 개어 깊은 못이 다 맑아졌다고 하니, 정말 그렇다면 갓끈을 씻어 매고 다시 벼슬길에 나가고 싶다는 것이다. 나랏일을 근심하는 작자의 심정을 날씨의 변화에 비교하여 나타낸 작품이다.

참고문헌

『윤선도작품집』(윤성근, 형설출판사, 1977)
『윤고산연구』(이재수, 학우사, 195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