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수단가사 ()

목차
관련 정보
운수단
운수단
불교
문헌
조선시대 승려 휴정이 헌공의식문을 선의 입장에서 서술하여 1607년에 간행한 의례서. 불교의례서.
이칭
이칭
운수결수문(雲水結手文), 운수단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승려 휴정이 헌공의식문을 선의 입장에서 서술하여 1607년에 간행한 의례서. 불교의례서.
내용

종래의 헌공의식문(獻供儀式文)을 선(禪)의 입장에서 개찬(改撰)하였다. 1책. 목판본. ‘운수결수문(雲水結手文)’이라고도 한다. 1605년 해인사본(보림사, 일본 동양문고 등 소장), 1607년(선조 40) 순천 송광사에서 개간된 이래 여러 차례 판각되었다. 이 책은 상위인 제불보살과 중위인 3부제대성중(三部諸大聖衆), 하위인 귀신을 청하여 헌공하는 내용을 서술하고 있다.

부록으로 망자의 영혼을 맞이하여 헌공하는 데 필요한 영혼식(迎魂式), 선을 설하는 법회의식인 설선식(說禪式)과 칠성청(七星請)을 포함하고 있다. 내용은 먼저 향찬(香讚)·향게(香偈)·등게(燈偈)·삼귀의(三歸依)·삼보에 계청하는 개계(開啓)와 도량게(道場偈)가 나온다.

이어 정삼업진언(淨三業眞言) 등의 진언을 외움으로써 삼보를 통청하여 공양을 올리는 준비의식을 서술하고 있다. 다음에는 삼계(三界)의 제천중, 선부(仙部) 등을 청하는 소청중위(召請中位)의 의식을 행하며 이어 삼보에 공양을 올리고 향·등·꽃·과일·게송·가사 등을 바치는 소청상위가 계속된다.

다음은 명도(冥道)·귀계(鬼界) 등의 일체 귀신중을 소청하는 소청하위의 의식이 연결된다. 여기에서는 보소청진언·해원결진언(解寃結眞言)·『화엄경』 등을 외워 그 위력으로 일체의 잡귀 및 지옥중생을 위하여 기원하고 공양한다. 이 의식절차가 상세히 서술된 뒤 승속(僧俗) 중 망자를 천도하는 의식이 계속된다. 동국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참고문헌

『운수단작법(雲水壇作法)』
『한국불교찬술문헌총록(韓國佛敎撰述文獻總錄)』(불교문화연구소, 동국대학교출판부, 1976)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