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객유운 ()

목차
관련 정보
원객유운
원객유운
국악
문헌
작자 미상의 「평조회상」 · 「서금타령」 · 「본영산」 등을 수록한 악보.
목차
정의
작자 미상의 「평조회상」 · 「서금타령」 · 「본영산」 등을 수록한 악보.
내용

1책 45장. 사본. 거문고 악보를 주로 싣고 있는데, 장구보도 함께 적은 곡도 있으며, 서금타령은 양금보(洋琴譜)로 되어 있다.

수록된 곡은 영산회상·도드리계 음악·평조회상(平調會相)·가곡·여민락 등 광범위한데, 약간 산만하게 편집되어 있는 것이 흠이다. 시가(時價)표시는 없으나 장구장단의 표시가 있는 곡들도 있다.

기보법은 거문고 악보는 한글 또는 한자로 된 거문고 육보로 기보하였으며, 장구 악보는 거문고 악보 오른쪽에 부호로 기보하였다. 영산회상의 군악 해조(解調)는 풀장·풀가락·해탄(解彈) 등으로도 불리며, 군악 해탄 가락의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이 악보에는 현악영산회상(絃樂靈山會相)과 평조회상이 둘 다 있다. 특히 평조회상보는 다른 악보에서 보기 힘든 곡이며, 평조회상의 파생된 시기를 밝히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이 악보에 나오는 구(句)는 장단 또는 각(刻)을 나타낸다.

수록된 악보로는 본영산(本靈山) 5장, 중영산(中靈山) 4장, 세영산(細靈山) 5장, 가락환입(加樂還入:현행 가락덜이에 해당) 4장, 상현환입(上絃還入)·하현환입·염불·타령·군악 2장, 해조(4괘법으로 된 군악해탄)·세환입(細還入) 7장, 계면가락환입(界面加樂還入) 5장, 글계도리(현행 양청도드리)·양청글계·우조가락환입(羽調加樂還入)·본영산 5장(이하는 현행 평조회상임.), 중영산 5장, 세영산·가락환입·상현·염불·본환입 7장, 세환입 7장, 편락(編樂)·편(編)·서금타령·민락(民樂:현행 여민락)·우조초삭대엽(羽調初數大葉)·이삭대엽(二數大葉)·중거(中擧)·두거(頭擧)·평거·삼삭대엽·소용(搔聳)·반엽(反葉) 등이 있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참고문헌

『한국음악학자료총서(韓國音樂學資料叢書)』7(국립국악원, 1979)
「고악보해제보유」Ⅰ(이동복, 『한국음악연구』, 한국국악학회, 1979)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이동복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