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음화 ()

목차
언어·문자
개념
일정한 음운론적 환경에서 ‘ㄴ’ 이 유음 ‘ㄹ’ 의 영향 때문에 ‘ㄹ’로 동화되는 음운현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일정한 음운론적 환경에서 ‘ㄴ’ 이 유음 ‘ㄹ’ 의 영향 때문에 ‘ㄹ’로 동화되는 음운현상.
내용

예컨대 ‘앓+는→[알른]’ 에서와 같이 ‘ㄹ’ 이 자음 ‘ㅎ’ 을 게재시키고 다음의 ‘ㄴ’ 을 ‘ㄹ’ 로 간접동화시키는 것과 같은 경우이다.

따라서, 유음화는 간접적인 순행동화(順行同化)이다. 만일 개재자음이 없이 어간말의 ‘ㄹ’ 이 어미의 ‘ㄴ’ 과 직접 결합되는 경우에는 ‘알+는→[아는]’ 의 경우에서와 같이 유음화가 일어나지 않고 오히려 유음탈락이 일어난다.

현대국어에서 유음화는 어간말자음군(語幹末子音群) ‘ㄾ, ㄼ, ㅀ’ 다음에 ‘는, 나, 네’ 등의 ‘ㄴ’ 이 결합되는 경우에 흔히 볼 수 있다(훑+는→[훌른], 짧+나→[짤라], 뚫+네→[뚤레]등). ‘밟다, 읊다’ 는 ≪표준어규정≫의 표준발음법에서 자음 앞에서는 늘 ‘ㄹ’ 이 탈락하는 것을 표준발음으로 삼았기 때문에 이에 따르면 유음화는 상관없게 되는데, 방언에 따라서는 ‘밟+는다→[발른다]’ 와 같은 유음화를 겪는 형식이 실현되기도 한다.

‘ㄺ’ 의 경우에는 ‘읽+는→[잉는]’ 의 경우와 같이 ‘ㄹ’ 이 탈락하는 형식을 표준발음으로 규정하였으나, 드물게는 ‘읽+는→[일른]’ 과 같은 유음화를 겪는 형식이 방언에 따라 쓰이기도 한다.

‘ㄹ’ 이 게재자음을 두고 후속하는 ‘ㄴ’ 을 ‘ㄹ’ 로 유음화시키는 것은 ‘ㄹ’ 과 ‘ㄴ’ 이 같은 조음점(調音點)인 치경(齒莖)에서 조음되는 동기관적(同器官的)인 성질에서 비롯되는 동화이다.

이 동화와는 달리 ‘알+는→[아는]’ 과 같은 유음탈락은 동기관적인 두 음운의 결합에서 어간말의 ‘ㄹ’ 을 탈락시키는 이화(異化)로 해석된다.

복합어에서도 ‘물#난리→[물랄리], 불#놀이→[불로리], 줄#넘기→[줄럼끼]’ 등과 같이 유음화가 실현되는데, 때로 ‘ㄹ’ 이 탈락한 형식이 ‘솔#나무→[소나무]’ 와 같이 사용되기도 하고 ‘불#나비→[부나비]∼[불라비]’ 와 같이 두 형식이 시간차를 가지면서 함께 쓰이기도 한다.

또한, ‘다가올 날[다가올랄], 망할 놈[망할롬], 바람잦을 날[바람자즐랄]’ 등과 같이 구(句)를 하나의 기식군(氣息群)으로 발화할 때에 역시 유음화가 일어난다.

한자어에 있어서는 ‘신라[실라], 난로[날로], 천리[철리], 광한루[광할루], 대관령[대괄령]’ 이라든지 ‘찰나 [찰라]’ 등과 같이 유음화가 실현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의견란[의견난], 임진란[임진난], 생산량[생산냥]’ 등과 같이 유음화가 실현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참고문헌

「형태론적현안의 음운론(音韻論)적극복을 위하여」(김완진, 『동아문화』 11, 서울대학교, 1972)
「자음동화(子音同化)의 제약과 방향」(이병근, 『이숭녕선생고희기념국어국문학논총』, 탑출판사, 1977)
「유음탈락의 음운론과 형태론」(이병근, 『한글』 173·174, 한글학회, 1981)
『표준어규정』(문교부, 1988)
집필자
이병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