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직 ()

백졸암문집
백졸암문집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백졸암문집』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정견(廷堅)
백졸암(百拙庵)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02년(선조 35)
사망 연도
1662년(현종 3)
본관
문화(文化, 지금의 황해도 신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백졸암문집』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정견(廷堅), 호는 백졸암(百拙庵). 할아버지는 유복기(柳復起)이며, 아버지는 유우잠(柳友潛)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30년(인조 8)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벼슬길에 나아가는 것을 서두르지 않고, 서사(書史)를 탐독하여 『중용』과 『대학』의 연구에 힘썼다.

1635년 황해도의 유생들이 그 시론(時論)을 타서 이이(李珥)의 문묘종사(文廟從祀)를 주장하였는데, 조정의 관리들은 성혼(成渾)까지 문묘에 종사시켜야 한다고 소(疏)를 지어 올렸다. 그러나 인조는 그들의 도덕이 높지 못하다고 승낙하지 않았다.

1650년(효종 1) 다시 성균관에서 그 주장을 들고 나와, 중외(中外)가 호응하여 사론(士論)이 통일되었다고 주달(奏達)하였다. 이때에 영남에서 반대하는 의견이 일어나자, 소수(疏首)로 유생 800여명과 함께 서울에 올라와서 상소하였다.

이에 성균관에서는 유직의 이름을 유적(儒籍)에서 삭제하고 부황(付黃)의 벌까지 내렸다. 이때부터 문을 닫고 세상 일에 뜻을 버리고 집에 ‘백졸암(百拙庵)’이라는 편액(扁額)을 걸었다.

그 뒤 성균관에서 부황을 해제할 것을 상소하여 벌을 모두 해제받았으나, 다시는 벼슬길에 나가지 않았다. 문인들과 더불어 도학(道學)을 강론하였으며, 원근의 선비들과 인읍(隣邑)의 수령들이 찾아와서 가르침을 청하고 공경하였다. 저서에 『백졸암문집』이 있다.

참고문헌

『인조실록(仁祖實錄)』
『효종실록(孝宗實錄)』
『사마방목(司馬榜目)』
『백졸암문집(百拙庵文集)』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