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향품관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향촌에 거주하는 품관.
목차
정의
조선시대 향촌에 거주하는 품관.
내용

토성품관(土姓品官) 또는 재외품관(在外品官)이라고도 한다. 품관이란 원래 품계만 있고 직사(職事)가 없는 자, 산계(散階)만 있는 자, 즉 유품관(流品官)을 의미하였다. 고려 말 군공(軍功) 등에 의한 검교직(檢校職) · 첨설직(添設職)의 남발에 따라 품관이 대량으로 배출되었다.

조선왕조가 개창됨에 따라 새로운 집권자들은 정치적 목적에서 5∼10결의 군전(軍田)을 품관층들에게 주는 대신 거경시위(居京侍衛)를 요구하였다. 그러나 거경시위의 괴로움은 품관들의 거경시위를 꺼리게 하였다.

그 뒤 왕권의 안정으로 거경시위의 의무가 완화되어 품관들은 향촌에 머무르며 유향품관화하였다. 이러한 경우, 향촌의 사류(士類)를 ‘유향품관’ 또는 ‘품관’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유향품관들은 유향소를 조직하였다. 그리하여 그 지역 출신 재경관인(在京官人)들의 조직인 경재소(京在所)와 상호관계를 가지면서 자치적인 향촌 지배질서를 확립하였다.

그러나 1603년(선조 36) 경재소가 혁파되고, 향청(鄕廳)좌수 · 별감도 비록 향천(鄕薦)을 거치기는 했지만 그 임명권이 경재소에서 수령에게로 넘어갔다. 또한 수령의 보좌 · 자문 기능을 가졌던 좌수 · 별감 등 향임(鄕任)의 기능도 1654년 「영장사목(營將事目)」이 반포된 이후 수령의 하수기구(下手機構)로 전락하였다.

따라서, 중앙 관직과 일정한 관계를 유지하던 사족층들은 향임을 기피하였다. 대신에 향족들만이 향임층을 계속하게 됨에 따라 유(儒) · 향(鄕)이 나누어지게 되었다. 이때의 품관은 향임층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조선 후기에 경상도 안동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유향분기 현상이 나타났다.

유향품관들은 향촌사회의 지배층으로서, 한편으로는 유향소 · 향약 · 향회 · 동약 등의 기구와 조직들을 통해 향촌사회를 지배하고 향촌사회의 안정을 유지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토호적 존재로서 하민(下民)들을 탈법적으로 지배하고, 민전을 겸병하며, 부역이나 환곡을 물지 않고 천택(川澤)의 이익을 독점하는 등 불법을 저질렀다. 심지어 왕권을 대행하는 수령 및 관인(官人)들과 대립해 충돌을 빚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조선초기양반연구』(이성무, 일조각, 1980)
『한국제도사연구』(김용덕, 일조각, 1983)
『조선사회사연구』(송준호, 일조각, 1987)
집필자
김현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