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조법보단경요해 ()

목차
관련 정보
육조대사법보단경요해
육조대사법보단경요해
불교
문헌
조선후기 승려 긍선이 혜능의 『육조법보단경』을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
목차
정의
조선후기 승려 긍선이 혜능의 『육조법보단경』을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
내용

1권 1책. 필사본. 권두에 저자가 1845년(헌종 11)에 쓴 서가 있다. 우리나라 불교계에서 교과서 역할을 하였던 이 책은, 서문에서 선(禪)만이 대대로 전하여온 정법안장(正法眼藏)이고, 교학과 율학(律學)은 정법안장을 장식하는 조도(助道)라고 하였으며, 고려 중기의 보조국사(普照國師)가 『육조법보단경』을 스승으로 삼았다는 것, 수행승이 참된 방편과 수증(修證)을 위하여 이 책을 쓴다는 것 등을 밝혔다.

본문은 오법전의(悟法傳衣)·석공덕정토(釋功德淨土)·정혜일체(定慧一體)·교수좌선(敎授坐禪)·전향참회(傳香懺悔)·참청기연(參請機緣)·남돈북점(南頓北漸)·당조징소(唐朝徵詔)·법문대시(法門對示)·부촉유통(付囑流通) 등 『육조법보단경』의 열 가지 법문에 대한 대요를 해석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법문을 해석하기 전에 『육조법보단경』의 대지(大旨)는 곧바로 사람의 마음을 가리켜서 성품을 보아 성불하게 하는 직지인심(直指人心) 견성성불(見性成佛)이라고 밝히고, 아울러 임제종(臨濟宗)·운문종(雲門宗)·위앙종(潙仰宗) 등의 종지와 삼처전심(三處傳心), 활인검(活人劒) 등 선종의 특수용어에 대한 해설을 가하였다. 동국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