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달 (달)

목차
관련 정보
민속·인류
개념
음력에서 평년의 12개월보다 1개월 더 보태진 달.
내용 요약

윤달은 음력에서 평년의 12개월보다 1개월 더 보태진 달이다. 달을 기준으로 하는 태음력에서 한 달은 29일과 30일을 번갈아 사용한다. 이를 1년 12달로 환산하면 총 354일이 된다. 365일을 기준으로 하는 태양력과는 11일이 차이가 난다. 윤달은 이런 날짜의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만든 치윤법이다. 통상적으로 19태양년에 7번의 윤달을 둔다. 윤달이 드는 빈도는 5월이 가장 많고, 11·12·1월은 거의 없다. 윤달은 몇 년 만에 한 번씩 들기 때문에 탈이 없는 달로 인식되었다. 윤달에 집수리나 이사를 하면 좋다고 한다.

목차
정의
음력에서 평년의 12개월보다 1개월 더 보태진 달.
내용

윤달은 태음력상 역일(曆日)과 계절이 서로 어긋나는 것을 막기 위해 끼워 넣은 달이다. 태음력에서의 1달은 29일과 30일을 번갈아가며 사용하는데 이를 1년 12달로 환산하면 도합 354일이 된다. 365일을 기준으로 하는 태양력과는 11일이 차이가 난다. 이렇듯 달을 기준으로 하는 태음력으로는 태양력과 날짜를 맞추기도 어렵거니와 계절의 추이를 정확하게 알 수도 없다. 따라서 윤달은 이러한 날짜와 계절의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만든 주1에서 나온 개념이다.

윤달의 계산은 통상 19태양년에 7번의 윤달을 두는 19년 7 윤법이 가장 많이 쓰이는데, 이 계산법에 의하면 19태양년은 태음력 235개월이 된다. 태양력 만 3년이 채 못되어 윤달이 한 번씩 돌아오는 형태다. 윤달이 드는 빈도는 5월이 가장 많고, 11 · 12 · 1월은 거의 없다. 1년 12개월 외에 몇 년만에 한 번씩 들기 때문에 윤달을 여벌달 · 공달 또는 덤달이라고도 부른다. 그래서 보통달과는 달리 걸릴 것이 없는 달이고, 탈도 없는 달이라고 한다.

속담에 ‘윤달에는 송장을 거꾸로 세워도 탈이 없다.’고 할만큼 탈이 없는 달로 되어 있다. 윤달이 아니면 집안에 못을 하나 박아도 방위를 보아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집수리나 이사도 윤달에 하면 가릴 것이 전혀 없다고 한다. 이사나 집수리는 보통달에도 길일을 택하면 되지만, 주2는 꼭 윤달에 하게 되어 있어서 나이 많은 노인이 있는 집에서는 윤달에 수의를 만들었다. 산소를 손질하거나 이장하는 일도 흔히 윤달에 한다. 결혼도 평생의 대사이기 때문에 조심스러운데, 윤달에 하면 좋다고 한다.

이러한 윤달의 관습 역사는 확실하지 않으나, 『동국세시기』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보인다. “풍속에 결혼하기에 좋고, 수의를 만드는 데 좋다. 모든 일을 꺼리지 않는다. 광주(廣州)봉은사(奉恩寺)에서는 매양 윤달을 만나면 서울 장안의 여인들이 다투어와서 불공을 드리며, 돈을 자리[榻]위에 놓는다. 그리하여 윤달이 다 가도록 끊이지 않는다. 이렇게 하면 극락세계를 간다고 하여 사방의 노인들이 분주히 달려오고 다투어 모인다. 서울과 외도(外道)의 여러 절에서도 대개 이러한 풍속이 있다.” 그래서 지금도 영남지방에서는 윤달에 불공을 드리는 일이 많다고 하며, 경기도에서도 윤달에 세 번 절에 가면 모든 액이 소멸되고 복이 온다고 하여 부녀자들이 이름 있는 절들을 찾는다고 한다.

제주도에서는 윤달에 주3를 올리는 풍속이 있다. 생전예수재란 생전의 죄를 모두 사해 받고 주4하기를 생전에 비는, 여유 있는 사람들의 불공을 말한다. 또, 제주도에는 윤달에 사망한 사람을 위하여 그 제사를 윤달에도 지내고, 그 윤달 수의 원달[原月]에도 하기 때문에 한 해에 두 번 제사를 지내는 일도 있다. 윤달 생일을 가진 사람의 경우도 마찬가지라고 한다.

또, 11월에는 윤달이 거의 안 들기 때문에 하기 싫은 일, 예컨대 빚 갚는 일을 “윤동짓달 초하룻날 하겠다.”라는 식으로 말한다. 고창 모양산성에서는 윤달에 모양산성의 주5를 하는데, 이는 극락세계에 갈 수 있다고 하여 행하여지는 것으로, 많은 부녀자들이 머리 위에 작은 돌을 이고 읍성 위 둘레를 도는 관습이다.

참고문헌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문화재관리국, 1969∼1981)
『한국의 책력』 하(이은성, 현대과학신서, 1978)
주석
주1

달력이 틀리는 것을 막기 위하여 윤년 또는 윤월을 두는 방법. 우리말샘

주2

염습할 때에 송장에 입히는 옷. 우리말샘

주3

생전에 미리 지내는 자신을 위한 재. 죽은 후에 극락에 가게 해 달라고 지낸다. 우리말샘

주4

죽어서 극락에 다시 태어남. 우리말샘

주5

부녀자들이 성 주위를 도는 민속놀이. 우리말샘

집필자
장주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