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인첨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시대 때, 시어사, 우간의대부, 중서시랑평장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태조(胎兆)
시호
문정(文定)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110년(예종 5)
사망 연도
1176년(명종 6)
본관
파평(坡平, 지금의 경기도 파주)
주요 관직
시어사|우간의대부|중서시랑평장사|수태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시대 때, 시어사, 우간의대부, 중서시랑평장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태조(胎兆).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 윤언이(尹彦頤)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과거에 급제, 의종 때 시어사(侍御史)가 되었으나 일을 논하다가 고관의 뜻에 거슬려 좌사원외랑(左司員外郎)으로 좌천되었다.

1153년(의종 7) 11월 예부원외랑(禮部員外郎)으로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금나라에 다녀왔으며, 뒤에 기거주(起居注)가 되었다. 이 때 왕의 총애를 받던 궁인 무비(無比)의 사위 최광균(崔光均)이 정8품에 임명되고, 식목녹사(式目錄事)를 겸하게 되었다. 당시 사대부들이 모두 분하게 여겼는데, 왕의 독촉을 두려워한 나머지 간관으로서 여기에 서경(署經)해 비웃음을 샀다. 1163년(의종 17) 7월 기거주로서 국자시(國子試)를 주관하였다.

1165년 형부시랑으로 서북면병마부사로 있을 때, 금나라의 군사가 침입해 정주(靜州: 지금의 평안북도 의주)의 방수별장(防守別將) 원상(元尙) 등 16인을 잡아갔다. 이에 의주판관 조동희(趙冬曦) 등과 상의해 첩문(牒文)을 금(金)의 대부(大夫) 영주(營主)에게 보내어 잡혀간 사람들을 돌려받았으나, 이를 숨기고 왕에게 알리지 않았다.

1169년 12월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가 되고, 이듬해 명종이 즉위하자 국자감대사성이 되었고, 곧 참지정사 판병부사(參知政事判兵部事)를 거쳐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郎平章事)에 올랐다. 1172년(명종 2) 동북면병마판사 행영병마 겸 중군병마판사(東北面兵馬判事行營兵馬兼中軍兵馬判事)가 되었다.

1173년 6월 평장사로서 예부시를 주관하였으며, 8월 김보당(金甫當)의 난이 일어났을 때, 이의방(李義方)은 윤인첨과 함께 모의했을 것이라 의심해 죽이려 하였다. 그러나 유응규(庾應圭)의 힘을 입어 면하게 되었다. 뒤이어 상장군을 겸해 중방(重房)에 참여하게 되고 수태사(守太師)의 벼슬이 더해졌다.

1174년 10월 서경유수 조위총(趙位寵)이 반기를 들자, 원수가 되어 3군을 거느리고 서경을 치게 되었으나 절령(岊嶺: 慈悲嶺)에서 패하였다. 11월 다시 원수가 되어 부원수 기탁성(奇卓成), 좌군병마사 진준(陳俊), 우군병마사 경진(慶珍), 중군병마사 최충렬(崔忠烈) 등과 더불어 서경을 쳐서 1176년 6월 이를 평정하고 조위총을 죽였다. 그 공으로 추충정란광국공신 상주국 감수국사(推忠靖亂匡國功臣上柱國監修國史)에 올랐고, 7월 세상을 떠났으며, 이후 수태사 문하시중(守太師門下侍中)이 증직되었다.

무신정권 이후에는 무신들과 함께 일을 했으나 그들에게 견제되었고, 결국 별다른 활동없이 자신을 보존하는 데 그쳤다.

또한, 아들 윤종악(尹宗諤)·윤종함(尹宗諴)·윤종양(尹宗諹) 3형제가 과거에 급제해, 그 처에게는 나라에서 상을 내리어 매년 녹(祿)을 주었다. 명종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시호는 문정(文定)이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