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현리 적석총 ( )

목차
관련 정보
울주 은현리 적석총 전경
울주 은현리 적석총 전경
선사문화
유적
국가유산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에 있는 삼국시대 자연석을 이용해 축조한 돌무지무덤. 적석총.
이칭
이칭
은현리고분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은현리적석총(銀峴里積石塚)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적석묘
지정기관
울산광역시
종목
울산광역시 시도기념물(1997년 10월 09일 지정)
소재지
울산 울주군 웅촌면 은현리 산 207-5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에 있는 삼국시대 자연석을 이용해 축조한 돌무지무덤. 적석총.
개설

은현리적석총은 1997년 10월 9일에 울산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고분은 마을 뒷편 야산에 위치하며 경사가 10˚ 이내로 완만한 곳에 축조되어 있다.

내용

현재 남아 있는 돌무지무덤의 규모는 전면측면 길이가 약 19m 내외이고, 높이가 5∼6m 정도이다. 그리고 돌무지무덤의 석재들은 대부분 자연석을 이용한 것으로 보이는데 그 크기가 큰 것은 65×60×20㎝, 중간 것은 55×40×23㎝, 작은 것은 23×14×7㎝ 정도로 다양하며 무덤의 전체 모습은 원형이다.

그러나 돌무지무덤의 최하단 기단부의 형태, 함몰되어 있는 돌무지의 상태, 높이 등으로 미루어 볼 때 원래는 위로 오를수록 좁은 형태를 이루는 피라미드 형태로 추정된다.

이러한 형태와 유사한 것으로는 고구려 돌무지무덤인 집안(輯安)의 태왕릉(太王陵), 장군총(將軍塚), 서울 강동구에 있는 백제 초기 유적인 석촌동 돌무지무덤, 그리고 산청군 금서면의 전구형왕릉(傳仇衡王陵)이 있다.

의의와 평가

은현리적석총은 고구려 초기 무기단식 돌무지무덤과 유사한 형태를 띠고 있는데 하단부는 사각형이다. 이러한 유사성에 의거하여 400년 고구려군의 남정 이후 이 근처에 고구려군이 상주하며 조영한 결과로 보기도 한다. 더구나「중원고구려비(中原高句麗碑)」의 우벌성(于伐城)을 신라 경덕왕대 울주에 속한 우화현(于火縣)으로 볼 경우 고구려가 군대를 울산에 보낸 구체적 예가 되는 것이다. 고구려가 그들의 점령지 혹은 상대국 군사적 거점에 군대를 주둔시킨 사실은 여러 문헌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지역 일대는 우시산국(于尸山國)으로서 반독립적인 형태를 유지하다가 신라에 복속되었으며 예부터 교통로로 이용되었다. 따라서 이 지역은 광개토왕이 신라를 구원하기 위해 파견한 고구려군이 울산을 거쳐서 부산·김해로 나아가는 통로로 이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중원고구려비(中原高句麗碑)」
『울산광역시사』(울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02)
『울산지명사』(이유수, 울산문화원, 1986)
『朝鮮社會の史的展開と東アジア』(木村誠, 山川出版社, 1997)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