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양군 ()

목차
관련 정보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 경군인 이군 육위 중의 한 군단.
제도/법령·제도
제정 시기
고려 전기(고려 현종대)
공포 시기
고려 전기(고려 현종대)
시행 시기
고려시대
폐지 시기
고려 말
시행처
고려 왕조
주관 부서
고려 병부
내용 요약

응양군은 고려시대 경군(京軍)인 이군 육위(二軍六衛) 중의 한 군단이다. 용호군과 함께 2군을 구성하고 있으며, 설치 시기는 정확하지 않으나 현종 때로 보인다. 이는 궁성을 시위하는 친위군으로서, 용호군이 2령을 보유한 데 비하여 1령이었다. 국왕의 시위군으로 견룡군, 공학군, 중금군, 순검군, 내순검군 등의 금군(禁軍)도 무신정권의 성립을 전후하여 자주 출현하였으며, 2군과 달리 금위(禁衛)라는 별도 편제로 이해되기도 한다. 응양군의 상장군은 반주(班主)라 하여 이군 육위의 상장군·대장군으로 구성되는 중방 회의의 의장이 되었다.

목차
정의
고려시대, 경군인 이군 육위 중의 한 군단.
제정 목적

응양군(鷹揚軍)은 같은 이군(二軍)에 속하는 용호군(龍虎軍)과 더불어 육위(六衛)보다 늦게 창설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군의 설치 연대에 대해서는 ‘후치(後置)’라고 하였을 뿐, 분명히 밝힌 바가 없다.

그러나 『고려사(高麗史)』 현종세가(顯宗世家) 8년 11월 병신조(丙申條)에 용호군의 칭호가, 병지(兵志) 병제조(兵制條) 현종 9년 9월초에는 응양군의 칭호가 나타나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면 늦어도 현종 때에는 이군이 형성되었을 것이다. 특히 1010년(현종 원년) 거란의 2차 침입 때 왕은 주1로 피난을 가면서 국왕 경호의 문제가 노출되었고, 1014년(현종 5) 상장군(上將軍) 김훈(金訓) · 최질(崔質)의 난을 겪으면서 시위군(侍衛軍)의 필요성은 더욱 커졌다. 이러한 필요에 의해 설치한 것이 응양군과 용호군 2군이었다.

내용

응양군은 용호군과 함께 주3주4 주2으로서, 용호군이 2령(領, 1령은 1,000명)을 보유한 데 비하여 응양군은 1령이었다. 친위군으로서 임무상 국왕과 가까이할 기회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출세하기에 비교적 용이한 점이 있었다. 한편 응양군과 용호군 2군과는 달리 국왕과 지근거리에서 근무하는 견룡군(牽龍軍), 공학군(控鶴軍), 중금군(中禁軍), 순검군(巡檢軍), 내순검군(內巡檢軍) 등의 금군(禁軍)무신정권의 성립을 전후하여 자주 출현하였다. 이들은 응양군, 용호군과 달리 주6라는 별도 주7의 부대로 이해되기도 한다.

이러한 점은 문반의 내시(內侍)와 대비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군인들은 일반적으로 이 응양군과 용호군의 이군에 소속되는 것을 원하였다고 한다.

또한, 이군은 육위보다 상위를 차지하였고, 특히 응양군의 지휘관인 상장군반주(班主)라 하여 이군 육위의 상장군 · 대장군으로 구성되는 중방 회의(重房會議)의 의장이 되었고, 무반의 대표자 구실을 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응양군의 최고 지휘관은 상장군 1인으로 되어 있어 다른 중앙 군단의 지휘관 편제와 같으며, 그 밑에 대장군(大將軍) 1인, 장군(將軍) 1인, 중랑장(中郎將) 2인, 낭장(郎將) 2인, 별장(別將) 2인, 산원(散員) 3인, 주9 20인, 대정(隊正) 40인으로 되어 있어, 대체로 용호군의 약 반에 이르는 수의 장교를 보유하고 있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단행본

이기백, 『고려 병제사 연구』(일조각, 1968)
홍원기, 『고려 전기 군제 연구』(혜안, 2001)

논문

김낙진, 「고려 초기 내군과 금군」(『역사학보』 176, 역사학회, 2002)
김낙진, 「고려시대 견룡군의 설치와 임무」(『역사학보』 165, 역사학회, 2000)
송인주, 「고려시대의 금군」(『한국중세사연구』 3, 한국중세사학회, 1996)
이기백, 「고려 경군고」(『이병도박사화갑기념논총』, 일조각, 1956: 『고려병제사연구』, 일조각, 1968)
홍원기, 「고려 이군·육위제의 성격」(『한국사연구』 68, 한국사연구회, 1990)
주석
주1

전라남도 중서부에 있는 시. 동쪽으로 화순군, 서쪽으로 무안군과 함평군, 남쪽으로 영암군, 북쪽으로 광주광역시 광산구와 접한다. 전남평야의 중심지로, 쌀농사를 주로 하며 과수 농업과 원예 농업도 활발하다. 배가 유명하며, 동서로 영산강이 관통하며 흐른다. 서쪽에 나주 영상 테마파크가, 동쪽에 빛가람 호수 공원과 빛가람 전망대가 있다. 시 가운데를 동서로 1번 국도가 관통하며, 북쪽에는 호남선과 무안 광주 고속 도로가 지난다. 면적은 604.07㎢. 우리말샘

주2

임금이나 국가 원수 등의 신변을 안전하게 지키기 위한 목적으로 편성된 군대. 우리말샘

주3

궁중의 관아. 상서성 따위를 이르는 말이다. 우리말샘

주4

임금이나 어떤 모임의 우두머리를 모시어 호위하다. 우리말샘

주6

고려ㆍ조선 시대에, 궁중을 지키고 임금을 호위ㆍ경비하던 친위병. 우리말샘

주7

어떤 조직이나 기구를 편성하여 체제를 조직함. 또는 그 기구나 체제. 우리말샘

주9

고려 시대에, 이군 육위에 속한 정구품 무관 벼슬. 우리말샘

집필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