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 3·1운동 ( )

근대사
사건
1919년 3·1운동 때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전개된 독립만세운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19년 3·1운동 때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전개된 독립만세운동.
개설

3월 12일비안공립보통학교(比安公立普通學校) 학생들의 의거로 시작된 의성군의 독립만세운동은 안평·봉양·점곡·신평·가음·춘산면 등지로 확산되면서 4월초까지 계속해서 전개되었다.

경과와 결과

비안공립보통학교 의거는 3월 3일평양신학교에 입학하기 위해 갔던 김원휘(金原輝)가 마침 그곳에서 전개된 만세운동을 목격하고 돌아와, 비안면 쌍계동 장로교회 목사 박영화(朴永和)에게 그곳 상황을 전하고 의거를 종용하면서 비롯되었다.

한편, 같은 달 10일 대구의거를 목격하고 돌아온 박우완(朴又完)과 대구계성학교(啓聖學校) 학생 박상동(朴尙東) 등이 여기에 가담함으로써 학생과 안평동지역 기독교인의 만세운동이 시작되었다.

비안공립보통학교 학생 우희원(禹熙元)·박기근(朴基根)·박만녕(朴萬寧)·정인성(鄭寅城) 등은 3월 11일 비안장터에서 독립만세운동을 일으키려고 계획하였다. 그러나 이미 정보를 입수한 일본경찰의 삼엄한 경계로 거사계획은 12일로 변경되었다.

3월 12일, 전날 사건으로 주동학생들이 교장실에 불려가 설교를 듣고 있는 동안, 전교생 150명은 뒷산으로 올라가 일제히 독립만세를 외쳤다. 이에 설교를 듣고 있던 4명의 학생도 뛰쳐나와 같이 만세를 불렀다. 그런데 이 때 출동한 일본경찰과 교사들에 의해 학생들은 강제 해산되고 주동학생은 검거되었다.

강제 해산된 일부학생들은 이날 오후 1시경, 비안면 쌍계동으로 가서 기독교인을 중심으로 전개된 독립만세운동에 참가하였다. 보통학교 학생의거의 영향으로 3월 13일과 16일에 비안면 동부동에서 김석근(金石根)·임재호(林在虎) 등의 주동으로 100여 명의 군중이 독립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

이와 같은 소식은 안평면 대사동 교회에도 전달되어, 김옥돈(金玉頓)·이북술(李北述) 등의 주동으로 3월 15·17·18·19일까지 독립만세시위는 계속되었다. 한편, 봉양면 도리원에서는 이양준(李良俊)이 3월 19일 도리원장날을 기해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여기에 대사동의 해산 군중이 합세하게 되면서 군중의 수는 수천 명으로 늘어났다.

그러나 일본군경의 야만적인 발포로 인하여 3명이 현장에서 죽고, 6명이 부상을 당하였으며 많은 사람이 구금되었다. 그밖에 점곡면에서는 16·18·19·20일에 걸쳐 격렬한 만세시위가 전개되었고, 의성읍에서는 3월 18일에, 신평면 덕봉동에서는 25일에 각각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참고문헌

『독립운동사자료집』 5(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2)
『독립운동사』 3(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