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갑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신민회와 서북학회, 무관학교 등을 창설하여 애국계몽운동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이칭
추정(秋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77년(고종 14)
사망 연도
1917년
출생지
평안남도 평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일제강점기 때, 신민회와 서북학회, 무관학교 등을 창설하여 애국계몽운동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개설

본명은 휘선(彙璿), 호는 추정(秋汀). 평안남도 평원출신. 아버지는 이응오(李膺五)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96년 상경해 독립협회에 가입했고, 1898년 11월 만민공동회(萬民共同會)의 간부로 활동하다가, 이해 말 독립협회가 해산될 때 일시 구금되었다.

이후 한국육군무관학교를 졸업하였다. 일본으로 건너가 세이죠학교[成城學校]와 육군사관학교 보병과를 졸업하고 1904년 귀국, 이해 9월 대한제국 육군 참령(參領)이 되었다. 1905년 11월 일제가 무력으로 을사조약을 강제체결하자 군인직을 사임하고 국권회복을 위한 애국계몽운동에 종사하였다.

1906년 10월 박은식(朴殷植)·정운복(鄭雲復)·김붕준(金朋濬) 등 동지들과 함께 서우학회(西友學會)를 창립, 구국교육운동의 주동적 역할을 하였다. 1907년 4월 양기탁(梁起鐸)·안창호(安昌浩)·전덕기(全德基)·이동휘(李東輝)·이동녕(李東寧)·유동열(柳東說) 등과 함께 창립위원이 되어 국권회복을 위한 비밀결사인 신민회(新民會)를 창립하였다.

7월 고종의 양위를 반대하다가 어담(魚潭) 등 군인 출신 인물들과 함께 일시 투옥되었다. 1908년 1월 서우학회와 한북흥학회(漢北興學會)를 통합해 서북학회(西北學會)를 창립, 애국계몽운동의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1909년 10월 안중근(安重根)의 이토포살사건[伊藤博文砲殺事件] 때에 안중근과의 친분관계로 헌병대에 구속되어 잔혹한 고문을 받고 3개월간 옥고를 치렀다.

신민회가 만주에 무관학교를 설립하고 독립군기지를 창설하려고 간부를 제1차로 망명시킬 때 선발되어, 1910년 4월 안창호·유동열·신채호(申采浩)·김희선(金羲善)·이종호(李鍾浩) 등과 함께 칭다오[靑島]를 거쳐 노령으로 망명하였다.

그 뒤 만주의 밀산(密山)에서 무관학교를 설립, 교장이 되어 교포 자제들에게 애국교육과 군사교육을 실시하였다. 노령에서 이강(李剛)과 함께 『정교보(正敎報)』를 발행, 언론을 통한 독립운동과 계몽활동을 하였다.

이듬해 미국에 가 있던 안창호의 주선으로 『신한민보(新韓民報)』 주필로 초청되었으나, 미국의 상륙허가를 받지 못하였다. 그 뒤 시베리아로 가서 대한인국민회원동지방회(大韓人國民會遠東地方會) 회장을 역임하였다. 만주 길림성 목릉현(穆陵縣)에서 죽었다.

상훈과 추모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한국통사(韓國痛史)』
『대한계년사(大韓季年史)』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독립운동사』4·5·7·8(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2∼1976)
『대한민국독립운동공훈사』(김후경·신재홍, 한국민족운동연구소, 1971)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신용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