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옥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시강원보덕, 대사간, 공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백집(伯執)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18년(숙종 44)
사망 연도
미상
본관
한산(韓山,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
주요 관직
안변부사|시강원보덕|대사간|공조판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시강원보덕, 대사간, 공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백집(伯執). 이홍적(李弘迪)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수함(李壽涵)이다. 아버지는 이해로(李海老)이며, 어머니는 박수의(朴守義)의 딸이다. 부인은 안동권씨로 권양성(權養性)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54년(영조 30)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다음해 세자시강원사서, 그 다음해 정언이 되었는데, 이 때 왕의 견책을 받은 윤시동(尹蓍東)·이민곤(李敏坤)을 변호하다가 기장현에 유배되었다.

1758년 서용되어 충청도 암행어사로 나갔다. 이어 황해도에 어사로 나가 ‘생불(生佛)’이라고 자처하며 민심을 현혹시키고 백성의 재물을 착취하던 무당 4명을 처형하였다. 그 해 시행한 홍문록에 선발되었다. 효성과 우애가 지극하고 몸가짐이 깨끗하여 명성이 있었다.

다음해 영춘현감으로 나가 백성을 구휼하고 환곡을 탕감하여 흩어진 민호를 다시 정착시켰다. 1760년 홍문관부수찬으로 들어왔다가 영남 지방에 기우어사(祈雨御史)로 파견되었다.

이후 시강원사서를 거쳐 의주안핵어사로 나가 잠상인(潛商人: 법을 어기면서 몰래 밀매하는 상인)들의 살인 사건을 조사하고 지방관들을 처벌하였다. 과천에 어사로 나가 내시들의 행패를 단속하고, 홍문관부교리·부수찬, 안변부사·사간원사간·사헌부집의·시강원보덕 등을 역임하고, 1776년(정조 즉위년) 대사간으로 승진하였다.

1782년 삼사의 관원들과 함께 합계하여 좌의정 홍낙성(洪樂性)을 탄핵하여 파직케하였다. 1791년(정조 15) 공조판서로 승진하였다.

참고문헌

『영조실록(英祖實錄)』
『정조실록(正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집필자
이영춘(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