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재선생문집 목판 ( )

활재선생문집 목판
활재선생문집 목판
출판
유물
문화재
18세기 후반 경에 효령대군(孝寧大君) 8대손 이구(李榘, 1613∼1654)의 시문집인 『활재선생문집(活齋先生文集)』 8권 4책을 간행하기 위하여 새긴 판목.
정의
18세기 후반 경에 효령대군(孝寧大君) 8대손 이구(李榘, 1613∼1654)의 시문집인 『활재선생문집(活齋先生文集)』 8권 4책을 간행하기 위하여 새긴 판목.
서지적 사항

1986년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총 140매로, 판목은 밤나무로 만들어진 양면판각의 완질이다. 크기는 세로 19.2㎝, 가로 16.8㎝, 두깨는 3.0㎝이다. 판광(板匡)은 사주쌍변(四周雙邊), 유계(有界) 10행 20자이며, 주쌍행(註雙行), 백구(白口), 내향2엽화문어미(內向二葉花紋魚尾)로, 자광(字匡)은 세로 1.5㎝, 가로 1.2㎝이다.

내용

이구는 충청북도 괴산군 제월리(齊月里)에서 태어난 인조·효종대의 성리학자이나, 종실(宗室)의 후예라 큰 벼슬을 구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활재선생문집』의 서문은 1723년(경종 3)에 권두경(權斗經)과 이만부(李萬敷)가 썼으며, 발문은 1737년(영조 13)에 이유(李濰)와 채헌징(蔡獻徵)이 썼다.

권1에는 시·부(賊)·소(疏), 권2에는 서(書), 권3에는 잡저(雜著), 권4에는 잡저·서(序)·발(跋), 권5와 권6에는 간사잉어(看史剩語), 권7에는 잠명(箴銘)·제문(祭文)·행장(行狀), 권9에는 부록이 있다.

권1에 목록이 있고 권3과 권4의 잡저를 통해 그의 성리학에 관한 깊은 지식을 알 수 있다. 권5와 권6의 「간사잉어(看史剩語)」는 역사에 관한 평론이며, 권7은 천문(天文)·역법(曆法)에 관한 내용이다. 권8의 부록은 이구의 생애를 비롯한 비문(碑文)·행장류(行狀類)이다.

현재 판목은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제월리 이창재(李昶宰)가 소장하고 있고, 1986년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 판목으로 간행한 『활재선생문집』은 현재 국립중앙도서관,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활재선생문집 목판은 지방출신 성리학자의 완질의 문집 판목으로, 18세기 충청도 지방의 사림문화에 의한 목판인쇄 수준을 보여주고 지방사와 지방향토문화를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활재선생문집(活齋先生文集)』
『괴산군지』(괴산군지편찬위원회, 1990)
『충북지역의 현존판목』(김영진, 1997)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효경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